국문학자 김재용 원광대 교수는 지난달 이 잡지를 모스크바에 있는 러시아 중앙도서관에서 찾아냈다고 4일 밝혔다.
이 잡지는 소설 '낙동강'으로 유명한 포석(抱石) 조명희(1894∼1938)가 주도해 만든 잡지로, 1934년 9월 1호가, 1937년 8월 2호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동안 그 실물을 찾지 못하다 김 교수가 러시아를 수차례 오가며 찾아다닌 끝에 1호를 어렵게 찾아냈다.
120여쪽 분량으로 조명희 시 '짓밟힌 고려'와 '십월의 놀애'(시월의 노래)를 비롯해 한아나톨리, 전동혁, 최호림 등 당시 연해주에 있던 조선 문인들의 시, 산문, 희곡, 소설 등이 다채롭게 실렸다.
편집위원회가 쓴 것으로 돼 있는 '서언'에는 "원동 변강 고려 로력자들 속에서의 문예 운동은 어리어 이제 겨우 첫걸음을 것기(걷기) 시작한다. 이것은 우리 변강에서 이 문예집록이 처음으로 발행되는 것만으로도 명백하다"고 쓰여 있다.
김 교수는 "일제강점기에 상해 임시정부조차도 실제 출판물 같은 물적 토대가 없었고, 만주나 미국 등 해외 독립운동을 통틀어 그런 게 없었다. 연해주는 그런 물적 토대, 문자 공동체로서의 '망명 문단'이 유일하게 있었던 곳이다. 상해가 정치적인 임시정부라면 연해주는 문자의 임시정부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 디아스포라 문학의 특징은 식민지와 분단 때문에 형성됐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한국 디아스포라 문학의 성격과 역사성을 망명에서 찾아야 하고 조명희에 주목해야 한다. 그는 당시 최고 작가였는데, 뭐하러 힘들게 거기에 갔겠나. 식민지를 벗어나 망명 문학을 하려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가 이 잡지를 발견하게 된 것도 조명희가 연해주에 머문 10년간 어떤 활동을 했는지 찾아보려고 갔다가 얻은 수확이다.
그는 "그동안 냉전 시대 영향으로 러시아에 있는 연해주 망명 문단과 출판문화에 무심했다. 안타까운 일"이라며 "이제는 이 망명 문단을 제대로 조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