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취임 1년 2개월여 만에 이뤄진 두 번째 개편으로 청와대는 비서실·정책실·국가안보실 등 3실장과 그 산하 12개 수석 및 49개 비서관으로 재편됐다.
실장과 수석비서관 수는 같지만 비서관 자리가 기존 48개에서 49개로 1개 순증했고, 일부 비슷한 기능의 비서관실이 통합되거나 세부 기능으로 쪼개졌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대통령 비서실은 국정과제를 더욱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조직 진단을 실시했고 이에 따른 문재인정부 2기 개편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지난 23일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문 대통령이 말씀하신 자영업비서관을 신설해 중소상공인 경쟁력 제고 등 자영업 정책 총괄 조정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여타 정책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현재 인력 범위 내에서 일부 기능의 통합, 분리, 명칭변경 등도 추진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교육 정책과 문화 정책을 독립적으로 추진하고 그 기능을 강화하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홍보기획비서관은 기존의 홍보기획비서관에 더해 국정홍보비서관을 새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분리키로 했다.
홍보기획비서관은 국정 전반에 걸친 홍보와 미디어 쟁책을 다루고, 국정홍보비서관은 주로 정책 홍보를 담당한다고 김 대변인은 소개했다.
연설비서관도 기존의 연설비서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연설기획비서관을 신설하는 방식으로 분리된다.
신설되는 연설기획비서관은 주요 국정메시지를 통합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맡게 된다.
정무기획비서관과 정무비서관은 하나로 통합해 정무비서관만 남기기로 했다.
김 대변인은 "'정무기획'이라는 말이 정치권을 상대로 뭔가를 기획하는 듯한 느낌도 있어서 통합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정무수석실 산하에 비서관실이 하나 없어지는 만큼 통합되는 자치발전비서관실이 정무수석실 산하로 들어가게 됐다.
대통령비서실 산하 자치분관비서관과 정책실 산하 균형발전비서관도 자치발전비서관으로 통합됐다.
김 대변인은 "그동안 균형발전비서관이 중앙부처의 예산 등을 교부금 형태로 (지방정부에) 공급하는 일을 해 왔는데, 중앙에서 바라보는 시각으로 일하다 보니 자치분권비서관과 상충하는 일이 잦았다"며 "두 기능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려는 것이며, 행정관의 수나 조직 규모가 줄어들지 않고 그대로 합쳐졌다"라고 설명했다.
국가안보실 산하 사이버안보비서관과 정보융합비서관 역시 사이버정보비서관으로 통합됐다.
김 대변인은 "서로 기능이 유사한 면이 있고, 시너지 효과를 내고자 통합을 한 것"이라고 전했다.
일부 비서관실은 명칭을 변경됐다.
우선 국정상황실은 국정기획상황실로 이름을 바꿨다.
김 대변인 "문재인 정부 2기에서는 그날그날 벌어지는 일에 현안 대응을 하기보다는 더 중장기적인 기획 기능을 강화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하루 단위의 대응도 중요하지만 호흡을 길게 가져가면서 상황에 대응하겠다는 것으로 읽힌다.
뉴미디어비서관실은 쌍방의 소통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디지털소통센터로 바꿨고, 시민사회비서관은 촛불집회에서 드러난 국민의 바람을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자는 취지에서 사회참여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사회혁신비서관은 사회조정비서관으로, 제도개선비서관은 제도개혁비서관으로 이름을 각각 바꿨다.
정책기획비서관은 정책조정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김 대변인은 "지난 1년간은 정책을 기획하는 일이 많았다면, 이제는 기획보다는 기존에 했던 기획의 산물을 조정하는 기능이 강화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중소기업비서관은 중소벤처비서관으로 이름을 바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다는 뜻을 강조했다.
이 밖에도 외교정책비서관 산하에 재외동포 정책을 전담하는 재외동포 담당관을 신설해 재외동포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 대변인은 "일부 비서관은 이미 내정이 돼 검증에 돌입하는 등 채용 절차를 밟고 있지만 아직 사람을 찾아야 하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