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토론회' 김문수 '명함' 안철수 '골목길'

-5일간 서울시장 후보 3人 선거운동 방식 분석해보니 '각양각색'

(사진=자료사진)(사진=자료사진)
서울시장 선거전에 뛰어든 여야 후보들의 각기 다른 선거운동 방식을 선택해 주목된다. 지지율 선두인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는 일정 중 절반 가량을 구청장 후보 지원에 할애하는 등 여유로움이 묻어난다.

반면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는 자신의 인지도 올리기에,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는 지역 골목길 훑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박원순, 토론회.토크콘서트 적극 활용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지난달 31일부터 4일까지 하루 평균 6개의 일정을 소화한 박 후보는 정책 토론회와 구청장 후보 지원에 집중했다.

유세차 위에 올라 발언하는 대규모 유세보다는 자신의 정책을 알리는 행사가 많았다. 박 후보의 일정에는 정책 토론회나 토크콘서트가 하루 한 번 꼴로 있었다. 선거운동 둘째 날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린 사회복지정책 토론회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사회경제인과 토크콘서트, 서울역서 평화 토크콘서트 등에 참석했다.

박 후보가 전체 일정의 절반 가량을 구청장 후보를 지원하는 데 할애한 것도 특징이다. 지난달 31일 박 후보의 일정 9개 중에 구청장 후보를 지원하는 일명 '더불어승리' 일정은 5개였다. 지난 1일은 6개의 일정 중 2개가, 2일은 4개 중 2개, 3일은 6개 중 2개, 4일은 5개 중 3개가 민주당 구청장 후보와 함께하는 일정이었다.


이는 박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민주당 소속 구청장․시의원․구의원 후보들을 당선시켜 향후 시정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김문수, 명함 돌리며 얼굴 알리기

지난달 31일부터 4일까지 하루 평균 4.2회의 일정을 소화한 김 후보는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방문해 명함을 돌리며 얼굴 알리기에 집중했다. 세 후보 중에 일정 자체는 적지만 대부분이 2시간 가량 소요되는 집중유세로 채워져 있다.

지난 2일 강북․도봉 지역을 방문한 김 후보는 일정을 모두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발언하는 집중유세 4회로 채웠고, 4일엔 6개의 일정 중 5개가 집중유세였다.

김 후보는 유세차에 올라 발언하기보다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시민들에게 직접 인사하는 데 중점을 뒀다. 2일 강북구 집중유세에서 김 후보는 1시간 만에 200여 명에게 자신의 명함을 돌렸다.

이는 현직 서울시장인 박 후보, 대선 출마 경험이 있는 안 후보와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를 극복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김 후보는"박원순, 안철수 후보는 워낙 유명하지만 나는 안 유명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안철수, 하루 일정 8개 이상 '깨알 일정'

안 후보는 '깨알 일정' 행보를 보이는 게 특징이다. 지난 달 31일에는 새벽 6시 반 신도림역을 방문한 것을 시작으로 이날에만 12개의 일정을 뛰었다.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31일부터 4일까지 5일간 하루 평균 8개 이상의 일정을 소화했다.

일정이 상대적으로 빽빽한 건 안 후보가 동네 곳곳을 훑는 방식을 택했기 때문이다.

지난 달 31일에는 구로와 금천을 찾아 30분 씩 여러 차례 지역 주민들을 만났고, 주민들과 골목길을 걷는 행보를 보였다. 철길 인근 아파트 주민 30여 명과 모의 반상회를 열었고, 학부모들과 CCTV 상태를 확인하는 등 생활밀착형 유세를 펼쳤다.

1일엔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먼 관악구 대학동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었고, 2일엔 송파구의 한 아파트 단지 내 회의실에서 주민들과 만나기도 했다.

안 후보의 유세 스타일은 지난 대선 막판 시도한 '뚜벅이 유세'가 인기 있었던 탓으로 풀이된다. 반응은 좋았지만 너무 늦게 시작했다는 점을 반면교사로 삼아 이번에는 일찌감치 저인망식 전략을 선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