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북강경파 등의 공세와 이에 대한 북한의 반발 등 다소간 우여곡절은 거치겠지만 결국은 한반도 평화공존이 대세를 이룰 것임을 전제한 것이다.
북한 지하자원을 둘러싼 가장 큰 관심은 매장 규모와 잠재 가치다. 전문기관에 따라 대략 3천조원에서 7천조원까지 추정치가 2배가량 벌어지고 있다.
지질자원연구원은 2011년 기준으로 북한내 주요 광물의 가치를 3조 4249억 달러(약 3698조 원)로 추산하고 있다.
매장량 기준 세계 2위인 마그네사이트만 해도 약 2조 4048억 달러, 철은 8775억 달러, 금 857억 달러 등으로 평가됐다.
반면 광물자원공사는 2016년 기준으로 3200조 원으로 추정치를 다소 낮추는가 하면, 민간단체인 북한자원연구소는 2013년 기준 무려 6700조 원(6조 217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뿐만 아니라 현대경제연구원은 2011년 자료에서 6984조 원으로 추산했고 개발 유망 10대 광종만 해도 3661조 원의 잠재가치를 갖는다고 주장했다.
미국 온라인 경제전문매체인 쿼츠의 경우는 7조 달러(7567조 원)까지 액수를 높였고 일각에선 1경 원(1000조 × 10)이라는 그야말로 천문학적 숫자를 제시하기도 했다.
남한 지하자원 잠재가치(289조 원)와 비교할 때 적게는 11배에서 많게는 20여배까지 차이가 나는 셈이다.
하지만 이들이 매장량 평가를 위한 공통 출발점으로 삼는 것은 북한이 1988년 발행한 '조선지리전서' 하나다. 북한의 폐쇄적 특성상 달리 접근할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30년 세월이 흘러 그간의 변화가 반영되지 않은데다, 북한당국의 발표를 얼마나 믿을 수 있느냐를 놓고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고 있다.
최경수 북한자원연구소 소장은 "그나마 이 자료도 북한의 700여개 광산 중 200여개만 대상으로 한 것으로 (북한 발표에 대한) 인정 범위를 얼마로 하느냐에 따라 (잠재가치가) 크게 달라진다"고 말했다.
북한 지하자원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제기되는 궁금증은 남북한 간의 현격한 차이다.
넓지도 않은 한반도 지역에서 38도선을 경계로 마치 자로 그은 듯이 매장량은 물론 종류(광종)까지 천양지차를 보이는 것은 신비롭기까지 하다.
북한은 지하자원의 규모도 규모지만, 남한에는 없는 희귀자원을 포함해 다양한 광종이 360여종에 걸쳐 두루 매장돼있다.
중국이 자원무기화 하는 희토류도 대량 매장돼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심지어 석유 매장 가능성도 거론된다.
실제로 2007년 국회 국감에선 황두열 당시 석유공사 사장이 "(서해) 보하이만(발해만)은 북한과 중국 간의 원유개발협정이 맺어진 것으로 알려져있어 외교적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동해 북부지역의 동한만 분지를 먼저 (유전탐사를) 착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남북 간의 차이는 서로 다른 지질학적 작용을 거친 일종의 우연의 결과로서 그리 특이한 현상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북한은 원생대 해성퇴적층인 '마천령 육괴'가 함경남도 단천과 양강도 혜산에 걸쳐 분포돼있는 등 광물 생성에 유리한 지질인 반면 남한은 그렇지 않을 뿐이라는 것이다.
최경수 소장은 "(같은 남한이라도) 강원도에 많은 석탄이 서울에는 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라고 말했다.
북한이 지하자원 부국이다 보니 오히려 우려되는 대목도 있다. 돈이 급한 북한이 노른자위 광산을 중국 등에 헐값에 팔아넘기고 있다는 소문이다.
하지만 2010년 통계로 볼 때는 크게 걱정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외국기업 중 북한 광산에 진출해 생산가동 중인 곳은 중국 길림천우집단국제, 연변대한조철유한, 산시성 산촨기업, 단동 위민국제상무유한 등 4곳뿐이다.
투자 중이거나 사업이 중단된 곳을 합해도 미국과 일본 기업을 포함해 10곳 안팎에 불과하다. 북한의 광산이 현재 700여개임을 감안할 때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광산을 운영하기는 데 필요한 전기 등 북한 내 인프라가 낙후된 탓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언젠가 유엔 제재가 풀리고 대북 투자 붐이 일어날 경우, 일찌감치 선점 작업을 벌여온 중국을 상대로 승산을 장담할 수 없다는 점에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