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방사선 응용 이동 무인 자동화 시스템 국제표준 개발 워킹그룹'의 초대 의장에 구인수 책임연구원이 선임됐다고 11일 밝혔다.
이 워킹그룹은 원자력연 측이 국가기술표준원의 지원을 받아 국제표준기구인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제안한 것으로, 지난해 10월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산하 원자력계측기술위원회(TC45, Technical Committee 45) 총회를 통과한 데 이어, 올 3월 전체 회원국들의 승인을 받았다.
IEC는 국제원자력기구(IAEA)·국제표준기구(ISO)와 함께 원자력발전소의 계측, 제어, 기기 등에 대한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IEC 국제표준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다.

앞으로 원자력연 주도로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비상 사고, 오염제거 및 해체 작업, 방사선 취급, 방사성 물질 추적 등에 사용하는 원자력 로봇에 대한 국제표준 문서를 발간하게 된다.
이 국제표준은 원자력 로봇 분야 최초로 수립되는 것으로, 원자력 로봇의 기능과 형태 등 전반을 대상으로 한다.
워킹그룹은 향후 2년 내에 일반 기준을 수립하고, 추후 세부 로봇 유형별 표준문서를 개발할 방침이다.
첫 의장으로 뽑힌 원자력연 구인수 책임연구원은 "국제표준 문서 개발은 우리나라가 원자력 로봇 기술을 선도하고,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도 강화시킬 수 있는 기회"라며 "원자력연구원의 원전 유지보수 로봇, 사고대응 로봇 개발 경험 등을 바탕으로 국제표준 문서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