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은 지난 2009년부터 지역 초·중등학교 예술 영재들의 역량 계발을 위해 예술영재교육원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시교육청은 해마다 2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예술 영재들에게 전액 무료로 수업을 제공 중이다.
2018년 1학기 기준 109명의 학생을 50여 명의 강사가 시간당 6만 원을 받고 가르칠 예정이다.
영재교육원은 지역에 사는 예술 영재들에게 보다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강사 선발 과정도 까다롭게 운영 중이다.
국내 대학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하거나 석사학위에 준하는 국외 과정을 수료해야 최소한의 지원 자격이 주어진다.
여기에 각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영재원의 강사 선정심사위원회를 통과해야 4년 동안 강사로 활동할 수 있는 자격 요건이 부여된다.
하지만 CBS 취재 결과 강사 자격 요건이 유지되는 4년 동안 단 한 차례의 수업도 배정받지 못하는 강사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사들에게 수업을 배정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면서 그 동안 제멋대로 식 수업 배정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더구나 현행법상 예술영재원에서 수업을 해서는 안 되는 사설 학원 운영자까지 강사로 채용돼 수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예술영재원은 강사들에게 학원을 경영하는 사람은 강사로 참여할 수 없다는 사실을 메시지 등을 통해 알렸다고 해명했지만 이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특히 자신에게 수업 기회가 오길 무작정 기다리는 다수 강사들이 있는 상황에서 영재원 간부 공무원의 친·인척이 지난 2017년 2학기부터 강사로 참여한 사실이 확인돼 특혜 의혹까지 일고 있다.
하지만 영재원 관리 책임이 있는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과 광주시 교육청은 CBS 취재가 시작되기 전까지 이와 관련된 어떤 사실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광주시 교육청 관계자는 "국가공무원법에 근거해 학원을 운영하는 사람은 영재원 강사로 활동하지 못하게 돼 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며 "다시는 비슷한 문제가 재발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 교육청은 예술영재교육원을 포함한 영재교육원 운영에만 연 20억 원이 넘는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원래의 취지대로 예술 영재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시 교육청이 강사 선발과 수업 배정 등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편 광주 CBS 취재가 시작되자 예술영재원은 학원을 운영 중인 강사와 영재원 간부의 친·인척인 강사를 2018년 1학기 수업에서 해촉 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