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는 평창패럴림픽이 끝나고 한미 연합훈련이 재개되기 전인 3월 말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북 특사로는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13일 CBS노컷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임종석 비서실장은 과거 행정 관료형 실장이 아니라 정무적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며 "대통령의 의사를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사 한 명이 파견되는 게 아니라 특사단을 꾸리고 단장에 임 실장, 단원에 서훈 국정원장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지금은 북한이 남북 정상회담을 제안한 상태이기 때문에 여건 조성이 중요하다"며 "임동원 전 통일부장관도 상징적 인물이라는 점에서 특사단에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임 실장은 지난 10일 북한 대표단이 청와대를 방문해 문 대통령을 접견했을 때 배석했다.
또 다음날 북한 대표단을 서울 반얀트리 호텔로 초청해 문 대통령 대신 환송 만찬을 주최하기도 했다.
지난 2000년 6월 1차 남북 정상회담 때는 김대중 대통령의 '복심'으로 통했던 박지원 문화관광부 장관(현 민주평화당 의원)이 중국 베이징에서 북한측 인사들을 만나 정상회담을 논의했다.
2007년 2차 정상회담 때는 김만복 국정원장이 막후에서 활약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여동생인 김여정 제1부부장을 특사로 보내 정상회담을 공개적으로 제안한 만큼, 과거와 같은 물밑 작업 과정을 건너뛴 채 대통령 비서실장이 특사로 파견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셈이다.
임 전 장관의 경우 과거 1, 2차 남북 정상회담 과정에 깊숙히 개입했고, 김정일 위원장을 직접 만난 인물이라는 점에서 김정은 위원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 대통령이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의 두 차례 접촉 이후 "미국도 북한과의 대화 의사를 밝혔다. 남북 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한 것처럼 대북 특사 파견을 위한 여건도 일정 정도 무르익고 있는 분위기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청와대에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김여정 부부장을 면담했을 때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서도 북미간의 조기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미국과의 대화에 북쪽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펜스 부통령이 지난 10일 방한 일정을 마치고 미국으로 귀환하면서 "북한이 대화를 원하면 우리도 대화하겠다"고 밝히는 등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 분위기도 청와대가 빠른 시일 안에 특사 파견을 추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특사 파견은 남북 정상회담 시기와 의제 등 북측의 구체적인 답변을 받아와야 하는 성과를 내야한다. 그런 부분까지 감안하면 필요 이상으로 속도를 낼 상황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