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피아는 지난해 10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계 최초로 AI 로봇에게 시민권을 부여한 AI 로봇이다. '소피아'라는 이름은 '지혜'라는 뜻이다. 인간과의 공감 능력을 확대해나가겠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한다.
시민권 로봇 '소피아'가 30일 한국을 방문했다. 로봇 산업이 발전하고 일상에 녹아드는 과정에서, 최초로 시민권을 가진 AI 로봇에게 직접,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해 직접 묻고 답변을 듣기 위해서다.
인간과 실시간 대화는 물론, 대화 내내 아이 컨택을 한다. 수시로 미소짓고 고개도 끄덕인다. 오드리 햅번의 표정을 본따 만들었다는 소피아는 62가지의 표정을 지을 수 있다.
AI 로봇은 상당히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만약, 로봇이 사람과 같은 지능을 가지게 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이순간 '터미네이터' 같은 공상과학영화를 떠올릴 것이다.
이에 대해 데이비드 핸슨은 "어떤 사람은 진화한 로봇을 에일리언과 '같은 것'으로 여긴다. '통제해야 안전하고 인간에 종속돼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지능을 가진 생명체를 케이지에 가둬놓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못박았다. "기계가 지능을 가지게 됐는데 통제만하면 그게 더 위험할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AI를 무조건적으로 통제해야 한다는 발상은 지능이 있는 생명체를 인간의 종으로 부리기 위해 통제하는 것과 다를 게 없다는 설명이다. AI를 인간 서비스에만 종속시켜 활용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
데이비드는 "로봇이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려면 하나의 인격체로 만들어야 한다"면서 "AI 로봇도 마찬가지 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구를 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핸슨 로보틱스는 "로봇에게, 소피아에게 인간의 숨결을 넣겠다"는 포부다.
AI를 사람의 가족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 "아이처럼 돌보는 것부터 시작해 사람들에게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기계가 완전히 탈 인간화가 아닌 사람들의 언어로 같이 대화하는 것을 기대한다. AI 대화에는 '진심'이 담긴다.
현재 빅스비, 코타나, 시리처럼 단순히 사람 '목소리로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 컨택과 함께 미소도 나누고 직접 얼굴을 보고 대화하면서 감정을 담아 '소통'하는 것을 꿈꾼다.
데이비드는 "이미 소피아는 인간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을 뛰어넘어 자폐환자를 돕는 등 의료생활 등 다양한 부분에 스며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소피아의 자매인 이브는 이탈리아에서 자폐증을 앓고 있는 어린이를 돌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인공지능을 새로운 종으로 인정하고 사람들과 똑같은 가치를 공유하고 공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I 새로운 권한을 불어넣는 움직임은 전세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유럽연합은 정교한 자율성을 가진 인공지능에게 '전자적 인간'이라는 법적 지위를 부여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를 주최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우리나라가 소피아에게 '서울 명예 시민권'을 수여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이번 행사가 4차 산업혁명을 한국이 선제적으로 이끌어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 "AI 및 로봇 산업분야에 정부와 산업 현장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미래사회에 대비해 만전을 기하는 계가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