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검찰은 주말도 반납한 채 관련자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이는 등 MB 퇴임 이후 최대 위기가 조성되는 양상이다.
다스의 BBK 투자금 140억원 회수와 관련한 정권 차원의 직권남용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신봉수 부장검사)는 주말인 20일 다스의 전현직 임직원들의 주거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MB가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을 향한 수사가 "정치보복"이라고 주장한 지 3일만에, 검찰은 "법과 원칙대로 한다"(문무일 검찰총장)는 입장을 재확인시켰다.
앞서 첨수1부는 김성우 전 다스 사장과 권승호 전 전무 등에게서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의 창업 자금을 대는 등 회사 설립에 깊숙이 관여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10년전 검찰과 특검 수사에서 '이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가 아니다'라고 주장한 게 잘못됐다는 취지의 자수서도 제출했다.
2011년 다스가 김경준 전 BBK 대표의 스위스 계좌에서 140억원을 확보하는 과정에 당시 청와대와 외교부가 관여했다는 게 이번 고발 사건의 요지다.
MB의 다스 실소유 여부는, 140억 회수에 국가 공권력을 불법적으로 동원해야 할만큼의 '절실한 필요'가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 정황에 해당한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자 중 핵심은 신학수 다스 감사다. 청와대 재직 중 다스 관련 업무를 챙겼다는 의혹이 일찍이 제기돼 있던 인물이다. MB청와대에서 총무비서관과 민정1비서관을 지냈고, MB의 후원회·선거캠프 등에서도 활약한 MB측근이다.
MB측근 강제수사 속도 면에서는 국정원 특활비 불법 상납 사건 쪽이 더 빠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송경호 부장검사)는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 김진모 전 민정2비서관을 이미 구속했다.
뿐만 아니라 또다른 MB측근 김희중 전 총무기획관으로부터 "국정원 특활비를 대통령 미국 순방 전 달러로 환전해 제공했다"는 시인을 받아냈다.
특활비 의혹을 놓고는 한때 측근이었던 정두언 전 의원도 한마디 거들고 있다. 그는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대선 캠프 당시 '경천동지' 할 일 세 가지가 있었는데, 그 후유증 처리에 특활비가 필요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측근들이 줄줄이 검찰 강제수사 대상이 되면서 MB의 직접 수사도 머지않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희중 전 실장도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개인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어서 있는 그대로를 사실대로 얘기했다"며 "이미 검찰 수사가 탄탄하게 진행돼 있어 부인할 수 있는 부분이 없었다"며 검찰 수사가 상당히 진척됐음을 암시했다.
다만 현 정권 청와대가 MB에게 평창동계올림픽 초정장을 보낸 점을 감안할 때 MB가 포토라인에 서는 시기는 올림픽 이후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