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은 저금리 시대의 종언을 의미한다. 속도의 문제만 남았을 뿐 앞으로 상당기간 고금리 시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예고돼 왔다. 지난 6월 이주열 총재가 통화정책 완화정도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처음 언급한 이후 북한 리스크에 따른 경기회복세 지연으로 미뤄져왔지만 지난 달 금통위에서는 금리 인상 소수의견이 제시되기도 했다.
한은은 그동안 '경제상황의 뚜렷한 개선'을 금리인상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했었다. 한은은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을 웃돌면서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3%이상으로 보고 있다. 잠재성장률 2.8%~2.9%를 웃도는 수준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 이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3.2%로 상향조정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다음달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것 역시 영향을 미쳤다.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현상에 따른 자본유출을 선제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다.
기준금리 인상기대가 시장에 선반영돼 채권금리와 은행 대출금리 등이 상승한 상황도 고려됐다.
시장의 관심은 이날 기준금리 인상 자체보다는 향후 금리인상의 속도에 모아져 있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경기회복세와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을 보고 통화정책 방향을 세워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