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기호 1번), 이호동(2번), 윤해모(3번), 조상수(4번) 후보 모두 참석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새 정부와의 노정 대화 회복 여부가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민주노총은 국민의 정부 시절 외환위기 극복에 협조하기 위해 노사정위에 참여했지만, 파견제 및 정리해고제 도입에 반발하며 노사정위에 불참해왔다.
이후 참여정부 시절에는 간헐적으로 대정부 교섭을 벌였지만, 보수정권이 집권한 이후에는 공식 노정대화가 완전히 단절됐다.
1기 직선제로 당선된 현 한상균 위원장이 "박근혜 정부의 노동 탄압에 맞서 '즉각 총파업'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정권 교체 이후 새 정부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노동시간 단축·최저시급 인상 등 굵직한 노동정책을 대거 추진하면서 사회적 대화 복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대해 네 후보 모두 문재인 정부와 사회적 대화에 나서겠다면서도 그 방법론인 노사정위 복귀 여부를 놓고는 입장이 엇갈렸다.
이미 기존 노사정위 참여를 주요 공약으로 내걸은 윤 후보는 대선이 시작되기도 전인 올해 2월 문재인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공식 지지한 사회연대노동포럼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더구나 당시 포럼 상임대표가 문성현 노사정위원장인만큼 윤 후보는 노사정위 복귀를 통해 '실리'를 챙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근혜 정권 초기인 2013년 말 KTX 민영화에 반대하며 철도 파업을 지휘했던 김 후보는 노사정위 복귀 대신 '신(新) 8자회의론'을 들고 나왔다.
지난 9월 한국노총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새로운 사회적 대화 기구인 '8자 회의'를 제안한 데 더해 노사정위원장이 아닌 국회 대표자를 포함시켜 새로운 노사정 대화틀을 만들자는 주장이다.
다만 새로운 사회적 기구를 구성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하면서 "사회적 여론을 선도하는 전략을 구사하면서 사회적 대화에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노동시간 단축 및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시급한 사안만 따로 추려내 노사정대화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즉각적인 노정 교섭을 통해 당면한 노동 문제를 먼저 해결하고 노정 간의 신뢰를 회복해야만 노사정 대화 복귀도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후보는 "우선 정부와 즉각 교섭할 것이며 이를 통해 노사 교섭의 정상화를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