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삶의 질, 5년 전보다 떨어져

학원복음화협의회 대학생 1천명 대상 조사..정치 성향은 진보가 많아

최근 학원복음화협의회가 대학생들의 의식과 생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첫 번째로 삶에 대한 인식이나 정치 성향 등 비종교적인 부분에 대해 알아봤다.

현재 삶을 만족한다는 응답이 10명 중 6명이지만, 5년 전보다는 삶의 만족도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현재 삶을 만족한다는 응답이 10명 중 6명이지만, 5년 전보다는 삶의 만족도가 현저하게 떨어졌다.
대학생 10명 중 6명은 현재 삶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원복음화협의회 학복협이 대학생 1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현재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61.4%, 하루 종일 슬프거나 짜증난다고 응답한 학생은 24.1%에 달했다.

2012년 학복협이 조사했을 당시에는 현재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87.7%가 나왔는데, 5년 전보다 26.3%가 하락했다. 반대로 슬프거나 짜증난다는 응답은 2012년 당시 20.5%보다 3.6% 정도 약간 상승했다.

자살을 심각하게 생각해본 적이 있다는 응답도 23.8%로 2012년 16.3%보다 무려 7.5%가 증가했다.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가 5년 전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더 중요한 점은 삶이 힘들다고 말하는 이들은 늘어났지만 종교의 필요성은 크게 느끼지 않는데 있다.


2012년 조사 당시에는 종교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31.9%였는데, 이번 조사에는 28.6%로 3.3% 하락했다.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는 떨어졌지만, 종교를 통해 위로받고 싶어하는 대학생은 오히려 줄었다.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는 떨어졌지만, 종교를 통해 위로받고 싶어하는 대학생은 오히려 줄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정재영 교수(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는 "분석 결과 문제는 이들이 종교를 그렇게 썩 필요로 하지 않는다라는 사실"이라며 "종교가 자신들의 삶이나 현실적 문제에 대해서 그다지 큰 해법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즉, 기대가 낮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정치 성향을 묻는 질문에는 5년 전보다 스스로를 진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율이 증가했다.

2012년 조사 당시 정치 성향이 진보라고 응답한 학생은 26.1%였던데 반해 이번 조사에서는 35.2%가 진보라고 응답해 9.1% 증가했다. 자신의 정치 성향을 중립이라고 대답한 대학생은 46.3%였으며, 보수라는 응답은 18.4%에 달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가져온 촛불집회에 대해서도 88.9%가 지지했다고 밝혀 지지하지 않았다보다 월등히 높았다.

학복협의 조사를 분석한 정재영 교수는 "한국교회가 이 결과를 아프게 받아들이고 대학생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대책을 세워야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