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 2017년 11월 1일 수요일(07:00~07:30)
■ 프로그램 : 최승진의 아침뉴스
■ 출연 : CBS노컷뉴스 황명문 선임기자
1일 신문에서는 한중관계 정상화 합의소식을 일제히 전하고있다.
신문들은 한중이 사드갈등 1년 8개월 만에 관계를 정상화하기로 합의했다면서 다음주 베트남 APEC 정상회의에서 한중정상회담을 열기로 하면서 양국관계가 해빙수순으로 들어서게 됐다고 평가를 하고있다.
다음주 APEC 회담이 관계개선의 가늠자가 될 것이라면서 연내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과 내년 2월 평창올림픽에 시진핑 주석을 초청하는 방식으로 셔틀외교가 복원될지 주목된다고 전망을 하고있다.
또 한중갈등이 해결 실마리를 찾으면서 관광재개 등 실질적 조치가 정상회담 이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면서 유커가 돌아올지 관광,항공업계가 들뜨고있다는 분위기를 전하면서 그러나 원상회복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신중론도 적지않다고 분석하고있다.
관련해 한겨레신문은 사설에서 한국은 교류협력 정상화라는 현재의 실리를 택했고 중국은 한국의 미국 미사일방어체계 불참이라는 미래의 약속을 받아냈다면서 이번 한중관계 정상화를 계기로 북핵 등 한반도 문제 해결과 미국과 중국의 동북아 공존이라는 한반도 평화정착의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지적을 하고있다.
평창 올림픽 성화가 1일 한국에 온다는 소식이다. 신문에는 김연아 홍보대사가 성화를 들어보이는 사진이 실렸다.
평창올림픽 D-100을 맞아 평창을 밝힐 성화가 이날 오전 11시 한국에 도착하는데, 어제 그리스 현지에서 김연아 홍보대사가 비행기에 실을 안전램프에 든 성화를 전달받은 사진이다.
성화는 앞으로 100일간 7500명 주자의 손에 들려 전국 17개 시도를 도는 2018km의 성화봉송 대장정에 들어간다.
평창올림픽은 내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17일동안 강원도 평창,강릉,정선 일원에서 펼쳐지는데 우리나라는 금8개, 은4개, 동8개로 종합 4위를 목표로 하고있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의 문고리 3인방으로 꼽히는 이재만, 안봉근 전 비서관이 국정원으로부터 매달 1억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체포됐다.
국정원 살림을 총괄했던 이헌수 전 기조실장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두 비서관에게 매달 현금 1억원씩을 전달했는데 이 돈의 출처가 국정원장 특수활동비라는 거다.
이 전 실장은 자신의 차에 5만원권 1억원을 싣고 청와대 주변을 돌면서 두 비서관을 은밀하게 만나 007 가방을 건냈다고 하는데, 두 비서관이 먼저 나서 상납을 요구했다고 한다.
또 조윤선, 현기환 전 정무수석에게도 매달 현금 500만원이 전달됐다고한다.
검찰은 이렇게 박근혜정부 국정원이 청와대 관계자들에게 상납한 돈이 총 4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있다.
그동안 제대로 수사를 받지 않았던 20년 문고리 권력 이재만, 안봉근 전 비서관이 이번에 뇌물혐의로 체포되면서 결국 꼬리가 잡혔다.
청와대와 국정원의 고위급들이 줄줄이 수사대상에 오르게 됐는데 국정원 자금이 친박계 인사 등 정치권으로 흘러갔을 가능성도 나오면서 국정농단 수사가 새 국면에 들어서게 됐다는 분석이다.
국정원 특수활동비 규모는 연 4,800억원에 이르고있지만 아무런 감사나 예산심사를 받지않고 영수증 없이 쓸수 있는 돈인데, 이번 기회에 특수활동비 제도도 뜯어고쳐야한다는 지적이 나오고있다.
◇ "위안부 기록 세계유산 좌절…조선통신사, 어보.어책은 등재"
위안부 기록의 세계유산 등재가 좌절됐는데, 조선통신사 기록물과 종묘가 세계유산이 됐다는 소식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일본의 방해로 끝내 보류됐다.
그러나 이번에 서울의 종묘 신실에 봉안된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종묘는 건물과 제례에 이어 소장품이 모두 세계유산 목록에 올랐는데, 역대 세계 어느 문화유산도 이루지 못한 그랜드 슬램 고지에 올랐다는 소식이다.
또 조선통신사 기록물이 한일양국 공동으로 처음 세계유산에 등재됐고, 구한말 국채보상운동 기록물도 세계유산이 되면서 역사적 의미가 큰데, 국내 세계기록유산 가운데 유일한 근대유산이다.
북한도 조선 정조때 왕명으로 편찬한 전통무예 교본인 무예도보통지를 세계유산에 등재했다.
하지만 이번에 위안부 기록이 유네스코에 최대 분담금을 내는 일본의 저지로 불발되면서 일본 정부의 부당한 압력 행위가 논란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