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세종시 신도시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대전 유성구 용산동 용신교네거리에서 세종시 금남면 장재리까지 12.9㎞를 잇는 상수도관 설치 공사에 들어갔다.
당초 내년 6월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공사는 두 달 넘게 중단된 상태다.
공사구간에 가스관과 전기·통신선로 등 지하매설물이 지나치게 많고, 땅속의 단단한 암반도 걸림돌이 됐기 때문이다.
흙막이 시설이 필요 없는 구간인데도 이를 설계에 반영하는가 하면 적정하지 않은 토공작업 장비와 상수도용 강관 등을 쓰도록 한 사실도 드러났다.
공사 과정에서 야적장에 보유 중인 강재를 재활용하거나, 강모래 대신 골재 생산 시 발생하는 석분을 활용하도록 권장된 사항 역시 지켜지지 않았다.
대전시 감사관실은 공사비가 과다하게 책정됐다며 예산 13억 원을 감액하도록 하고 유사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조치할 것을 상수도사업본부장에게 요구했다.
여기에 일부 구간의 조립식 흙막이 공법을 두고 시공사와 발주처인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의 갈등도 이어지고 있다.
상수도사업본부는 3억 원의 비용을 들여 설계용역까지 실시하고도 이 같은 문제들을 막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김동섭 대전시의회 의원은 24일 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용역을 통해 지하매설물을 추정할 수 있는데도 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여러 문제점을 내포한 현 노선으로 결정했다"며 "연약지반 공사에 가능한 쉴드제킹 공법을 경암구간이 많은 구간에 적용하는 등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명백한 설계오류로, 이 같은 설계오류를 누가 방임·묵인했는지 책임을 가려야 한다"며 "상수도사업본부가 관리감독을 제대로 했는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공사를 맡은 상수도본부는 "설계오류라기보다는 지하에 있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며 "설계 단계에서 추정하긴 하지만 실제 땅을 파서 확인하기 전에 정확한 사항은 알 수가 없다"고 해명했다.
또 "시공사, 감리단과의 협의를 통해 조속히 공사를 재개하고 세종시와도 약속한 기일까지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잇따른 문제에 설계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공사 지연으로 시민들만 피해를 보게 됐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