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인터뷰에서 밝은 목소리로 이같이 밝혔다.
공론화위원회는 전날 "4차 조사결과 건설재개 59.5%·건설중단 40.5%로 나타났기에 신고리5·6호기 건설을 재개하는 정책 결정을 하라. 원전축소 의견이 53.2%로 나타났으니 원자력발전을 축소하는 정책결정도 하라"고 정부에 권고했다.
김 위원장은 "조사결과 건설재개와 건설중단 응답이 '초박빙'이면 어떻게 정부권고안을 내놓아야 할지 걱정을 많이 했다. 심지어 꿈까지 꾸었다"며 "응답 차이가 오차범위 이내면 통계적으로는 50 대 50으로 봐야 하는 것이라서 그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을 했지만, 답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며 그간 겪었던 남모른 고민의 일단을 털어놨다.
그는 "19% 포인트 차이가 난 것을 보고는 그런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났다는 점에 안도했다"면서 "분석결과를 보면서 '집단지성이 이런 것인가'하는 놀람과 감동이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결과를 보니 숙의를 거치면서 생각이 변해가는 과정이 보였다"면서 "판단을 유보했던 분들이 결정하고, 20대·30대 젊은 세대층에서 의견분포의 추이 변화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 확연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민참여단 471명의 의견이 '재개'로 쏠리면서 동시에 원전축소 쪽으로 절묘하게 답을 줬다"면서 "정말 전율이 느껴졌다. '이게 숙의의 힘인가' 하고 느꼈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 위원장은 "종합토론회 폐회식에서 시민참여단에게 '위대한 것을 선택한 게 아니라 여러분이 선택해서 위대하다'고 말씀드렸는데, 정말 그대로 돼서 기분이 좋았다"며 "물론 조사결과를 받고서 보고서를 쓰고, 발표문을 밤새워 만들었지만 즐거운 마음으로 임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2만6명의 응답을 받은 1차 전화조사결과도 주목했다.
1차 전화조사 결과는 건설재개 36.6%, 건설중단 27.6%, 판단유보 35.8%로 나왔다. 1차 조사의 오차범위는 ±0.7%로 재개가 중단보다 9.0% 포인트나 더 많았다.
김 위원장은 "1차 조사결과도 4차 조사까지 다 끝난 뒤 보고서 작성을 위해 합숙을 하면서 위원들에게 공개됐다. 위원들이 1차 조사를 알고 있으면, 나머지 공론화 과정에 부담될 수 있어 비밀에 부쳤다"며 "1차 조사결과를 알았더라면 이렇게까지 초조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웃음을 지었다.
그는 "이번 공론화 과정에서 위원들이 자체적으로 '성공했다'고 평가하는 것 중 하나가 '철통보안'이었다"고 소개했다.
김 위원장은 아울러 신고리5·6호기 건설 여부가 공론화의 의제인 상황에서 원전축소 권고까지 함께 내놓은 데 대해서도 명확하게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공론화위 내부에서도 처음에는 원전축소 질문을 포함할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다"면서 "하지만 건설재개 쪽 입장을 가진 분들은 '원전을 유지해야 하고 5·6호기를 지어야 한다'는 분들과 '탈핵을 지지하지만 5·6호기는 짓자'라는 분들이 섞여 있었다. 또, 양측의 쟁점이 모두 원전의 안전성·경제성이 핵심이라 따로 분리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신고리5·6호기 건설에 대해 단순히 다수, 소수의 응답 비율만 내놓으면 갈등 사안이 해소되는 것이 아니라 확대 재생산될 수 있다고 봤고, 그렇다면 공론조사가 여론조사를 좀 더 고급스럽게 하는 것밖에 안 된다는 생각이었다"면서 "이번 공론조사를 통해 갈등봉합 차원에서 확인할 부분은 확인해야 한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시민참여단의 현명한 판단에 진심으로 한 분 한 분 감사드린다"며 "신고리5·6호기 공론화 시민참여형 조사 보고서에 471명의 이름을 모두 넣었다. 책자로 나오면 감사장과 함께 자택으로도 발송해 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다른 사안의 공론화위원장을 맡을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아이고, 이제 저보다는 또 다른 분이…"라며 손사래를 쳤다.
그는 "사회적 갈등관리와 관련해 문제를 풀어가는데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경력이 있는 분들이 좀 더 많이 참여를 해줬으면 좋겠다"면서 "국민의 신뢰를 받고, 지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이 점점 늘길 바란다. 그것만큼 귀중한 사회적 자산이 어디 있겠느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