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공석인 헌법재판관을 지명할 때 소장 후보자도 사실상 동시에 발표해 김이수 권한대행 체제에 대한 논란을 해소해달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헌재는 16일 “재판관 전원(8명)이 모여 소장 및 재판관 공석사태의 장기화로 인해 헌재의 정상적인 업무수행은 물론, 헌법기관으로서의 위상에 상당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고 밝혔다.
헌재 재판관들은 “조속히 임명절차가 진행돼 헌재가 온전한 구성체가 돼야 한다는 점에 대해 인식을 같이 했다”고 덧붙였다.
모두 9명으로 구성되는 헌재 재판관은 지난 1월 31일 박한철 전 헌재소장이 퇴임한 뒤 10개월 가까이 한 자리가 공석이다.
앞서 지난 13일 열린 헌재 국감은 ‘김이수 대행 체제’ 논란으로 파행됐다.
다만, 이날 재판관회의에서는 새로운 권한대행을 선출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며, 새 헌재소장의 조속한 임명을 촉구하는 의견만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