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리스크 커지면서 주목받는 '러시아 역할론'

일각에서는 러시아 역할 한계있다는 분석도…"北행동변화 위한 유인책 무엇이 있나"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자료사진)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북중관계가 악화되면서 '러시아 역할론'이 부상하는 모양새다.

북한과의 '대화'를 북핵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으로 제시해온 러시아가 국제사회와 북한 사이 '중재자'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우선 최근 북한과 중국의 사이가 예전같지 않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도발로 북중 간 고위급 채널이 사실상 단절된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 사실인 것 같다"면서 "현재 양국간 의미있는 고위인사 교류가 끊어진지 오래고 재개한다는 말도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2013년 6월 김계관 당시 북한 외무성 부상과 중국 외교부 간 전략 대화 이후 양국 간 의미있는 소통도 없었고, 지난 8월 필리핀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잠시 만났을 뿐 이번 유엔 총회에서는 북중 회담 자체가 없었다.

중국이 미국의 세컨더리 보이콧 압박 등에 시달리면서 북한문제에 깊이 관여하지 않으려는 뜻으로 해석된다.

북한 문제에 있어 중국이 부재한 현 상황에서 러시아의 역할론이 부상하고 있다.지난 25일 조선중앙통신은 최선희 북한 북미국장이 모스크바를 방문하기 위해 25일 평양을 출발했다고 보도했다.

최 국장은 29일(현지시간) 러시아 외무부 당국자와 만나 한반도 위기 상황에 대해 논의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미 간 갈등이 최고조에 이른 상황에서 대미 관계를 담당하는 최 국장이 러시아를 방문했다는 점은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러시아는 6자회담 당사국이자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이며, 북한과의 갈등을 푸는 문제에 있어 '대화'를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최근 조셉 윤 미국 6자회담 수석대표를 초청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북핵 문제에 있어 러시아가 중재 역할에 나서고자 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됐다.

우리나라와도 신 정부 출범 이후 북핵 문제에 대해 러시아와의 소통이 더욱 잘 이뤄질 수 있는 배경이 마련됐다.

한 외교부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러시아를 방문하는 등 한러 관계가 단기간 내 상당히 깊어질 수 있는 토양을 마련했다"면서 "북핵 문제는 물론 다양한 사안에 대해 한러 간 고위급 차원에서 의견이 교환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러시아의 역할이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 교수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경제교류 규모나 그간의 관계를 미뤄볼 때,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다. 북한의 행동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유인책을 무엇을 갖고 있을지 그것이 관건이고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