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인 MBC 라디오 작가들도 "총파업 지지"

“사측 제작 개입 함께 경험 … 다시 빛나는 MBC 라디오를 꿈꿔”

4일 오전 마포구 상암동 MBC사옥 진행된 전국언론노동조합 MBC 본부 서울지부 파업 출정식에서 노조원들이 김장겸 사장 퇴진과 방송의 정상화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이한형 기자/노컷뉴스)
"업무 복귀가 보장되지 않는 프리랜서임에도 라디오를 아끼는 마음으로 MBC 라디오 모든 프로그램의 작가들은 파업을 지지한다."

MBC 라디오 작가들이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MBC본부노조, 위원장 김연국)의 총파업을 지지하고 나섰다.

특히 이들은 을 중의 을이라는 '프리랜서' 신분에도 파업 지지 선언을 해 눈길을 끈다.

4일 MBC 라디오 작가 60여 명은 "다시 빛나는 MBC 라디오를 꿈꾸며"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PD들이 밝힌 대로 아이템 검열과 사측의 제작개입은 작가들도 익히 알고 함께 경험했다"며 "‘세월호’ ‘위안부’ ‘대통령’ 관련 아이템은 피해야 했고, 지독하게 꼼꼼히 원고를 검열하던 시사콩트는 청취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음에도 결국 폐지됐으며, 이른바 진보성향이라는 출연자는 하루아침에 출연이 취소되었다"고 밝혔다.

이어 "PD들의 제작거부가 시작된 지난주부터 MBC 라디오는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진행자 없이 음악만 방송되고 있다"며 "그럼에도 PD가 떠난 자리에 작가들이 남아 방송을 유지하는 이유는 ‘라디오 올 스톱’이란 초유의 사태에 이르기 전에 MBC가 제자리를 찾길 염원하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하지만 사측이 끝내 PD들의 외침을 묵살한다면 MBC 라디오작가들은 작가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노력을 다해 그 외침에 힘을 보탤 것이다"고 가종했다.

또 "PD들이 돌아왔을 때 업무복귀가 보장되지 않는 프리랜서임에도 라디오를 아끼는 마음으로 MBC 라디오 모든 프로그램의 작가들은 파업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현재 MBC 라디오는 지난주부터 담당 PD들의 제작거부를 시작, 현재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진행자 없이 음악만 방송되고 있다.

나머지 시간에는 프리랜서인 작가와 진행자들, 그리고 최소한의 간부급 PD들이 방송을 제작하고 있는 상황이다.

MBC본부노조는 이날 0시를 기점으로 김장겸 사장 퇴진과 방송 정상화를 내건 총파업을 시작했다.

MBC지부를 포함한 전국 18개 지부 2000여 조합원이 파업에 동참한 상황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