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충제, 제초제 등 한 번도 쓴 적 없어
- 일제시대 과수원 터, 그때 살충제 가능성
- 지금껏 믿어준 소비자들에게 너무 죄송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이몽희(경북 영천 농가)
◆ 이몽희> 네, 안녕하십니까.
◇ 김현정> 제가 차마 안녕하시냐는 인사를 못 건네겠네요.
◆ 이몽희> 네.
◇ 김현정> 어젯밤부터 모든 닭을 살처분하셨다고요?
◆ 이몽희> 아직까지 살처분을 진행 중입니다.
◇ 김현정> 지금도 밤새?
◆ 이몽희> 네네.
◇ 김현정> 몇 마리나 하셔야 되는 거예요?
◆ 이몽희> 8500마리 정도 되는데.
◇ 김현정> 8500마리요? 아니, 살충제가 달걀에서 나온 집들은 달걀만 버리면 되는데 8500마리를 다 살처분해야 되는 겁니까, 의무적으로?
◆ 이몽희> 제가 8월 16일 우리 계란에서 DDT 나왔다 하는 걸 알고 그전에 검색을 해 봤어요. DDT가 굉장히 무섭다 하는 거예요. 그때 마음을 정했어요. 닭 자체를 폐기하고 농장도 폐쇄해야 된다 마음의 결정을 그때 했었습니다.
◇ 김현정> 이 DDT가 위험하다는 걸 스스로 검색해 보시고 정부에서 어떻게 하라고 명령 내리기 전부터 혹은 명령이 지금도 내려진 건 아닌데 내가 스스로 폐쇄해야겠구나라는 결심을 하셨다고요?
◆ 이몽희> 그렇죠. 농장을 폐쇄하는 거죠.
◇ 김현정> 아니, 그 DDT 검출 소식이 전해진 뒤에 기자회견하신 걸 들었어요. 어떤 점이 그렇게 힘드셨던 겁니까? 억울하고?
◆ 이몽희> 글쎄 나는 어떤 경우가 있어도 화학약품을 갖다가 농장에 사용한 적이 없어요.
◇ 김현정> 한 번도?
◆ 이몽희> 한 번도 사용한 적이 없는데.
◇ 김현정> DDT뿐이 아니라 다른 살충제 어떤 것도?
◆ 이몽희> 살충제니 제초제니 항생제니 이런 건 제 머릿속에 없는 글자입니다.
◇ 김현정> 하긴 제가 그 농장 사진을 보니까 공장식이 아니라 흙바닥에서 닭을 풀어놓고 키우는 그런 방사형 농장. 그러니까 여러분 시골에 가면 왜 농가 마당에서 닭 키우듯이 그렇게 키우시더라고요.
◆ 이몽희> 네네.
◇ 김현정> 그런 식으로 키우면 진드기 생길 일이 없는 거고 살충제 뿌릴 이유도 없었다는 얘기인데. 그런데 혹시 그 마당에는 안 뿌리셨더라도 그 옆에 뭐 농작물 심어놓은 데 뿌렸다든지 그런 적도 없으세요?
◆ 이몽희> 이런 게 우리 농장에 와보지 않은 사람들은 우리 김현정 앵커같이 그렇게 얘기합니다.
◇ 김현정> 오해할 수 있다?
◆ 이몽희> 그리고 우리 농장에 와본 분들은 그런 얘기 자체를 안 해요.
◇ 김현정> 아니, 그러면 어떻게 그 근처에서 쓴 적도 없고 이 마당에는 더더욱이나 뿌린 적도 없는데 40여 년 전에 사용금지가 된 DDT가 40년 후에 검출이 될 수 있는지 저는 도무지 이해가 안 가네요.
◆ 이몽희> 저도 검출 소식을 듣고 여러 가지 요인을 갖다가 체크를 해 봤어요. 해 봤는데 경산하고 우리하고 두 집에서 검출이 됐는데 경산하고 우리하고 옛날부터 여기가 과수원 자리였다.
◇ 김현정> 농장 자리가 옛날의 과수원 자리였다?
◆ 이몽희> 네네. 일제시대 때부터 과수원 자리였다.
◇ 김현정> 그러니까 그때 그 과수원에 뿌렸던 살충제 DDT가 지금 그 흙에도 남아 있다 이렇게 되는 겁니까? 추측하기로는?
◆ 이몽희> 그렇죠. DDT 반감기가 제가 알기로 한 40년으로 봤을 때는 앞으로 100년 이상은 나온다. 무서운 거죠.
◇ 김현정> 100년 이상 그 흙에 남아 있다, DDT가.
◆ 이몽희> 네, 남아 있을 수 있다.
◇ 김현정> 그 생각하면서 결국 거기서 농장은 못하겠구나 생각을 하신 거예요?
◆ 이몽희> 당연히 못하죠. 어차피 생산하면 알에서 나오고 닭의 몸에서 나오고 그러는데 그걸 내가 알고 어떻게 소비자님께 판매를 하겠습니까?
◇ 김현정> 여러분 DDT라면 우리가 60~70년대 배고팠던 시절에 식량은 부족한데 수확은 많이 늘려야 하고. 이러다 보니까 마구 뿌렸던 농약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그게 너무나 위험하다는 걸 알고 40년 전에 금지시킨 건데 그 DDT가, 내가 뿌리지도 않은 DDT가 갑자기 검출되면서 생업을 접어야 하는 상황. 닭 농장 얼마나 오래 하셨어요, 선생님? 거기서.
◆ 이몽희> 제가 올해까지 3150일 정도 되니까 8년 조금 넘었죠.
◇ 김현정> 8년 동안. 8년 동안 계속 그렇게 친환경 농법으로 운영해 오신 거예요?
◆ 이몽희> 네네.
◇ 김현정> 그러니까 이게 참 얼마나 황당하신 겁니까?
◆ 이몽희> 글쎄요. 말을 제대로 못하겠네요.
◇ 김현정> 속상해서. 그러니까 정직하게, 남보다 좀 덜 벌더라도 공장식 농업하시는 분들만큼 못 벌더라도 정직하게 농사짓자고 해 왔던 것이 이렇게 날벼락 같은 일로 터지니까 이게 보통 힘드신 일이 아닐 텐데 이번 상황 겪으면서 여러 가지로 생각하신 게 있으시다고요?
◆ 이몽희> 제가 이번 일을 겪으면서 제가 농림부라든가 식약처라든가 전화를 다 해 봤어요. 다 전화해 보고 모든 행정기관에 전화 다 해 봤는데 한 군데도 이런 뉘앙스를 받은 적이 없어요.
◇ 김현정> 적극적으로 도와주려고 이렇게 하려는 곳이 없었다고요?
◆ 이몽희> 한 군도 없었기 때문에 가이드라인 그어주는 게 안 필요하겠나. 가이드라인을 긋고 컨트롤타워가 형성되고 일이 순리적으로 또 안 나가겠나. 그런 방향이 제시됐다고 봐요.
◇ 김현정>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지금 이 얘기는 이 선생님뿐만 아니라 많은 양계농자들이 하는 얘기더군요. 체계화된 일원화된 컨트롤타워가 절실하다 이 말씀. 힘내시고요, 힘내시고요. 정직하게 농사지어온 분한테 이런 날벼락 같은 일이 벌어져서 저도 참 마음 아픕니다.
◆ 이몽희> 그리고 저도 한마디 좀 해도 되겠습니까?
◇ 김현정> 하시죠.
◆ 이몽희> 제가 아주 지금까지 이렇게 하면서 저를 믿고 제가 만든 계란을 구매하신 소비자님께 사과말씀을 못 드렸었어요. 이 자리를 빌어가지고 진짜 죄송하고 또 미안하다 그렇게 전하고 싶어요.
◇ 김현정> 아이고, 참… 오늘 아직 살처분 진행 중이라고 하셨어요. 그거 답답하고 참담한 심경일 텐데 이렇게 인터뷰 해 주시고 여러분께 사과말씀까지 해 주시고 용기내주셔서 감사드리고요. 친환경 재래닭 사업 접지 마시고 더 열심히 꼭 좋은 닭과 달걀로 보답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선생님.
◆ 이몽희> 네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감사합니다.
◆ 이몽희> 네네.
◇ 김현정> DDT를 뿌린 적이 없는데 예전에 과수원이었던 땅이라는 이유로 DDT가 발견이 된, 검출이 된 바로 그 친환경 농가의 농주 이몽희 씨 만났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