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달걀 유통경로 추적 쉽지 않아…불안감 증폭

경북지역 생산 달걀(사진=경북도 제공)
경북지역 6개 양계농장에서 생산한 달걀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지역 소비자들의 불신감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다 달걀의 유통과정이 복잡해 살충제 달걀을 추적하는 것도 쉽지 않아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경상북도의 전수 검사결과, 칠곡과 김천, 의성, 경주 등 4개 시군 6개 산란계 농장에서 비펜트린과 피프로닐이 검출됐다.

경북도는 이에 따라, 이들 농장에서 보관하고 있는 36만 여개의 달걀을 모두 폐기하는 유통경로를 확인해 전량 회수해 폐기처분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살충제 달걀 대부분이 대구와 경북지역에서 판매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유통경로 때문에 판매망 추적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형 할인점 등 판매처가 확실한 농장에서 생산한 달걀은 그나마 유통과정을 확인할 수 있지만 달걀 수집상을 통해 거래된 경우 달걀이 정확하게 어디로 팔려가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 양계조합 관계자는 "조합에서 관리하는 달걀은 거래처 확인이 가능해 유통 경로를 확인할 수 있지만 개별적으로 판매하는 달걀의 유통경로를 추적하기란 어려움 점이 많다"고 밝혔다.

특히, 김천에서 적발된 미신고 소규모 영세 산란계 농장의 경우처럼 달걀 이력정보(난각)가 표시되지 않은 달걀에 대한 유통경로를 파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 달걀 유통판매상은 "그나마 달걀이 어느 농장에서 생산한 것인지는 알 수 있지만 어디로 팔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며 "특히 소매 판매상의 경우 어디로 팔았는지를 정확하게 기록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경상북도는 해당 시군에서 직접 현장조사하는 방법으로 살충제 달걀의 유통경로를 추적할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해당 시군에서 생산지와 판매처 등을 일일이 방문해 출하된 달걀의 이동경로를 확인하게 된다"며 "살충제 달걀이 최대한 회수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달걀 생산지의 자체 관리부실이나 생산와 소비자간 직거래 판매, 그리고 생산지→도매상→소매상 등 여러 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칠 경우 달걀 유통경로를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자칫 주먹구구식 조사로 끝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다, 달걀을 냉장보관할 경우 한달 정도 보관할 수 있어 살충제 달걀 문제가 불거진 지난 15일 이전에 생산된 달걀에 대한 유통경로 파악은 더더욱 어렵다.

그럼만큼, 지금으로선 소비자들이 살충제 달걀의 생산이력정보를 꼼꼼하게 확인한 뒤, 문제의 산란계 농장에서 생산한 달걀을 먹지 않은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