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무왕과 선화공주 무덤일까…익산 쌍릉 100년만에 발굴

문화재청 "피장자, 무덤 축조 방식 등 실체 밝힐 것"

익산에 나란히 조성된 백제 고분인 쌍릉(雙陵)에는 과연 누가 묻혔을까. 예부터 전해오는 이야기처럼 향가 '서동요'에 등장하는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가 무덤의 주인일까.

피장자를 놓고 학계에서 의견이 분분한 익산 쌍릉(사적 제87호)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한 세기 만에 발굴조사가 진행된다.

23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오는 8월부터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가 쌍릉 중 대왕묘를 발굴한다. 이번 조사는 일제강점기인 1917년 일본인 야쓰이 세이이치(谷井齊一)가 고적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쌍릉을 발굴한 뒤 정확히 100년 만에 다시 이뤄지는 것이다.

익산 쌍릉은 이번에 발굴되는 북쪽의 대왕묘와 남쪽의 소왕묘로 구성된다. 대왕묘는 지름 30m, 높이 5m 규모이고, 소왕묘는 이보다 조금 작은 지름 24m, 높이 3.5m다. 두 무덤 모두 원형 봉토분으로, 내부는 부여 능산리 고분군과 같은 백제 후기의 횡혈식 석실묘(굴식돌방무덤)다.

쌍릉 피장자에 관한 통설은 부여에서 익산으로의 천도를 추진한 무왕(재위 600∼641)과 그의 부인인 선화공주가 묻혀 있다는 것이다. 고려사 금마군조(金馬郡條)와 세종지리지, 동국여지승람에는 쌍릉이 무강왕(武康王)과 비(妃)의 무덤이라고 기록돼 있다. 쌍릉 중 대왕묘는 무왕, 소왕묘는 선화공주의 무덤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립전주박물관이 작년 1월 일제강점기 쌍릉 조사에서 나온 유물을 정밀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 같은 통설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국립전주박물관은 대왕묘 목관 내부에서 추가로 찾아낸 치아 4점에 대해 "전반적으로 닳은 정도가 비슷하고 중복된 부위가 없어 한 사람의 치아일 가능성이 크다"며 어금니와 송곳니는 20∼40세 여성의 치아라고 밝혔다.

이어 대왕묘에서 발견된 그릇의 형태를 조사해 백제 토기가 아니라 7세기 전반의 신라 토기와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학계 일각에서는 국립전주박물관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왕묘의 피장자는 여성이므로 무왕의 무덤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백제 무덤에서는 이례적으로 신라 토기가 출토됐다는 사실을 근거로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인 선화공주가 대왕묘의 주인이라는 견해도 나왔다.

이수정 문화재청 학예연구사는 "작년에 새로운 학설이 등장하기 전까지 대왕묘가 무왕의 무덤이라는 데 이의를 다는 학자는 거의 없었다"면서 "쌍릉 피장자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 발굴조사를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사는 "일제강점기 조사 당시에도 이미 도굴된 상태여서 잔여 유물이 많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유물을 최대한 수습하는 한편 무덤이 어떻게 축조됐는지도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