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방역당국이 일손 부족 등으로 현장 간이검사와 역학조사를 제때 진행하지 못해 AI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 AI 증가세 지속…7~9일에만 17건 확인
농림축산식품부는 9일 전북 임실(3개 농가)과 완주(1개 농가), 군산(1개 농가), 순창(1개 농가)에서 6건의 AI 의심 건이 추가됐다고 밝혔다.
이들 농가는 H5형으로 확인됐으며, 세부유형과 고병원성 여부 등에 대해선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로써, 지난 3일 제주 토종닭 농가를 시작으로 9일까지 모두 43개 농가에 대해 감염 여부가 확인됐으며 이 중 고병원성 H5N8형 12건을 포함해 양성이 32건, 음성은 11건인 것으로 알려졌다.
43건 가운데 농가가 직접 의심증상을 확인하고 신고한 것은 3건에 불과하고 나머지 40건은 역학조사와 살처분 과정에서 AI 감염 여부가 조사된 것으로 나타났다.
◇ 닭·오리 유통신고 수백건…일손 부족에 현장 조사 차질
이번 AI는 소규모 사육농가를 중심으로 퍼지면서 검사하고 관리감독해야 할 대상 농가가 많다는 게 지난 2014년 이후 발생한 AI와 다른 점이다.
이렇다 보니, AI 발생지역의 농가들이 전통시장과 중간유통상인 등을 통해서 닭과 오리를 구입했다고 신고해도 현장에서 간이검사와 역학조사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방역당국은 국민안전처의 재난 시스템을 통해 제주와 전북, 경기 등 발생지역 주민들에게 최근 전통시장과 유통상인으로부터 닭과 오리를 구입했으면 자진 신고하라는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별로 수백 건씩 신고가 들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농가는 키우던 닭과 오리가 폐사하는 등 AI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어도 재래시장과 중간유통상인을 통해 구입한 사실을 자진신고하면서 신고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방역당국은 신고가 접수되면 해당 농가를 방문해 간이키트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 한 뒤 양성반응이 나오면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해당 신고농가와 관련된 주변 농가와 중간상인 등에 대해서도 역학조사가 진행된다.
그런데 문제는 신고를 해도 제때 검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지금까지 신고 된 수백 건 가운데 현장 검사와 역학조사 등을 통해 감염 여부가 확인 된 건 40건에 불과하다.
지방자치단체 소속 방역담당 직원은 "하루에도 수십통의 신고 전화가 오는데 방문조사할 인력이 부족하다"며 "더구나 신고농장뿐 아니라 역학조사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AI 조사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양계업계 관계자는 "AI가 심각하게 확산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인력을 더 투입해서라도 빨리빨리 검사를 해서 차단방역을 해야 하는데 간이검사마저도 늦어지면서 언제 어디서 AI가 발생할 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 됐다"고 분통을 터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