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부처 기획・관리 책임 밝혀야
- 2급수? 수질측정 방법 문제있다
- 오염 확인하려 강물 마시기도…
- 재조사 환영… 보 부분개방 아쉽기도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종술(금강 환경지킴이)
◆ 김종술>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김현정> 별명이 '금강요정'인 그분 맞으시죠?
◆ 김종술> 네, 맞습니다.
◇ 김현정> 단도직입적으로 정말 전 정권에서 3번이나 감사를 이미 했는데 그래서 처벌받을 사람들 처벌까지 받았는데 그런 데도 4대강 사업 감사를 또 해야 하는 것이 맞다고 보세요?
◆ 김종술> 네, 지난 정권의 감사는 사실상 강도가 강도의 자유를 가지고 감사했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는데요. 박근혜 정부가 감사를 하겠다고 하면서도 큰 의지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면 강의 전문가인 대한하천학회나 4대강 사업을 계속 반대해 온 시민단체의 입장은 전혀 듣지 않았거든요. 그리고 4대강 사업을 누가 기획했는지도 정확히 안 밝혀졌잖아요. 그리고 예비타당성 조사도 회피했고 환경영향평가서 작성들도 6개월 만에 끝난 이유. 그리고 녹조발생이 예견됐는데 정부가 문제없다고 결론을 내렸던 부분들. 그 정부부처에 어느 누가 참여했고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그 정부부처에 참여했던 관련자들 아무도 처벌받지 않았죠.
◇ 김현정> 아무도 처벌받지 않았다? 환경을 이 지경으로 만든 사람들은 누군지. 무책임하게 이렇게 만든 사람은 누구인지에 대해서도 감사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거예요?
◆ 김종술> 4대강 사업이 어떻게 시작됐고 무슨 이유로 시작됐는지 더욱더 철저한 감사가 필요합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건설사의 담합, 이 정도 처벌로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이런 말씀을 하시는 거죠?
◆ 김종술> 그렇죠.
◇ 김현정> 이렇게까지 화가 나신 이유는 아마 우리 김종술 선생님은 현장에서 강의 사계절 변화를 다 목격하고 계신 분이기 때문에 그렇겠죠?
◆ 김종술> 제가 1년에 한 300일 정도는 강에 사는데요. 처음에는 강이 막아지고 물고기 떼죽음이 발생을 했어요. 2012년도에. 2013년도부터 녹조가 발생하기 시작했는데 그 녹조가 발생되고 나서 남조류 독성물질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대한 조사는 전혀 해 주지 않고 있어요, 정부에서는. 그냥 단순하게 물이 2급수다. 이런 식으로 얼버무려버리는 거죠.
◇ 김현정> 아니, 잠깐만요. 남조류라는 독성물질이 발생이 되는데 검사를 안 해 준다는 게 무슨 말이에요?
◆ 김종술> 남조류 수치가 있습니다. 남조류 안에 들어 있는 게 독성물질인데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물질이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에서는 이 남조류 수치가 많이 발생이 되어도 먹는 물 아무 문제 없다 그리고 기준치 아래라고 계속 덮어왔죠.
◆ 김종술> 물론 그 논리도 맞는데요. 이 물을 정화한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그렇게 따지면 4급수, 5급수 똥물도 정화하면 다 먹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남조류는 독성물질입니다, 독성물질. 2015년 일본에 있는 조류학자가 여기 우리나라 4대강을 다녀가셨는데 거기에서 남조류 수치를 조사했는데 먹는 물 기준 350배 초과된 걸로 나왔습니다.
◇ 김현정> 이걸 아예 직접 마셔보기도 하셨다면서요.
◆ 김종술> 네. 정부에서 이런 남조류 수치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안 이루어지고 여기에 대한 발표가 안 이루어지다 보니까 현장에 사는 저 같은 사람들은 이 강물을 떠서 마시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는데요.
◇ 김현정> 마셔보니까 어떻던가요?
◆ 김종술> 1년에 한 다섯 차례 정도 마시거든요. 2013년 이전에는 그나마 마실 만했습니다. 그런데 2014년부터는 마시고 5분 안에 바로 화장실로 뛰어갈 정도로.
◇ 김현정> 배가 아파서?
◆ 김종술> 배탈도 나고 두통도 밀려오고 피부병도 생기고 이런 현상이 계속 발생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아니, 제가 문외한이라 잘 이해를 못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마는 그렇게 독성물질이 먹으면 바로 피부병이 걸릴 정도의 독성물질이 강에 있는데 2급수가 나온다는 건 그래도 괜찮다는 소리잖아요. 이게 어떻게 그렇게 나올 수가 있는 거죠?
◇ 김현정> 그렇군요. 그래서 선생님이 떠서 직접 몸으로 시험하시는 건, 몸으로 테스트하시는 거는 그 밑의 물까지 다 떠서 테스트하신다는 말씀이세요?
◆ 김종술> 그렇죠.
◇ 김현정> 그렇게 해야 환경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된다?
◆ 김종술> 네. 제가 얼마 전에 미국을 다녀왔는데요. 미국을 취재하러 가서 미국에 있는 조류학자분한테 금강에서 제가 취재하고 있는 방법을 설명을 드렸더니 '녹조를 만지는 것만으로도 피부병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당신은 5년 안에 큰 질병을 앓을 것이다'라고 경고를 하더라고요.
◇ 김현정> 물론 환경을 위해서 솔선수범하시는 건 좋지만 직접 드시는 건 좀 피하셔야 될 것 같아요, 지금 말씀 듣고 보니까.
◆ 김종술> 알겠습니다. 자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웃음)
◇ 김현정> 알겠습니다. 그런 상황. 어쨌든 4대강 보 개방하라 또 동시에 감사도 다시 시작하라 어제 지시가 내려졌습니다. 그동안 현장에서 몇 년간을 활동하셨던 분으로서, 이제 다시 감사를 시작하는 그분들께 조언하실 부분이 있다면?
◇ 김현정> 현장의 목소리에 더 귀를 기울이라.
◆ 김종술> 금강의 예를 보면 금강에 3개의 보가 있습니다. 3개의 보 중에 가장 좋은 방법이 3개를 한꺼번에 여는 겁니다. 만약에 그게 힘들다고 한다면 다음 대안으로는 제일 상류나 제일 하류에 있는 보를 여는 게 맞습니다. 그런데 이번 발표를 보면 중간지점에 있는 공주보의 수문을 여는데 이거는 강의 현장을 잘 모르고 내린 판단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방향은 맞지만 현장의 목소리를 더 적극적으로 귀담아서 제대로 된 감사 이루어지게 해 달라 이 말씀 전하면서 저도 인사 나눠야겠네요. 오늘 고맙습니다.
◆ 김종술> 네, 고맙습니다.
◇ 김현정> AS뉴스. 4대강을 현장에서 지켜봐온 분이세요. 환경지킴이 김종술 씨였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