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안보수석 직을 폐지한 뒤 산하 2차장으로 통합시켜 권한이 커진 '국가안보실장'에는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4일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주 초, 늦어도 중반 안에 정책실장과 국가안보실장을 임명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초대 청와대 정책실장에는 김동연 전 국무조정실장을 임명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지난 11일 청와대 조직개편을 통해 참여정부와 이명박정부에서 운영됐다 박근혜정부에서 사라진 정책실장직을 부활시키며 "국가 정책 아젠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책실장 직속으로 경제보좌관과 과학기술보좌관을 둬 거시경제 운용 방향을 설정·점검하고, 범 부처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과 과학기술 발전 전략 마련 등을 담당하도록 했다.
정책실장이 이들 주요 정책들을 총괄하는 데 기획재정부의 주요 부서를 두루 경험했고, 국무조정실장을 거친 김동연 전 실장이 적임자라는 이야기가 청와대와 여당 안팎에서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50대 초반의 임종석 비서실장을 임명하며 "젊은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대통령과 참모들이 격의없이 대화하는 청와대, 참모들끼리 치열하게 토론하고 열정적으로 일하는 청와대로 바뀔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는데 김 전 실장 역시 만 60세로 청와대에 활력을 불어넣을 인물로 꼽힌다.
아울러 지금까지 발표된 내각 인사들과 청와대 수석들 중 충북 출신이 없다는 점도 김 전 실장에게는 '플러스요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경제보좌관을 지냈고 대선 때 문 대통령의 싱크탱크인 '정책공간 국민성장'의 소장을 맡았던 조윤제 서강대 교수와 기재부 관료들에게 신망이 높은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 임종룡 현 금융위원장의 이름도 동시에 오르내린다.
문재인 정부의 첫 국가안보실장에는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외교·국방·통일 정책을 사실상 총괄할 수 밖에 없는 국가안보실장에 외교 전문가와 국방 전문가, 북핵 전문가 중 어느 쪽을 택할지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북한이 문 대통령 취임 후 나흘만인 지난 14일 새벽 탄도미사일을 전격 발사한 것을 계기로 문 대통령의 의중이 대북정책과 대외관련 정책을 총괄할 수 있는 '북핵통' 쪽으로 기운 것이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문정인 교수는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 및 외교정책 입안에 큰 영향을 준 인사로 북한 미사일 발사 등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감안해 문재인 정부 초대 국가안보실장 하마평이 무성하다.
앞서 문 대통령은 김대중 정부시절 6‧15정상회담과 노무현 정부시절 10‧4정상회담을 성사시킨 서훈 전 국정원 3차장을 국정원장으로 지명했는데, 문 교수 역시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에서 각각 특별수행원으로 참여한 점을 감안하면 외교안보라인간 호흡을 감안해도 문 교수가 한발 앞서있다는 평가다.
현재까지의 청와대 인선에서 아직 제주 출신이 없다는 점도 제주가 고향인 문 교수의 낙점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4강 정상' 통화에 모두 배석했고, 대선 기간 동안 문 대통령의 '외교안보 공약'을 다듬었던 정의용 전 제네바 대사나 미국·북핵통인 위성락 전 러시아 대사, 지난 총선에서 문재인 당시 민주당 대표가 인재영입 '3호로' 영입한 이수혁 전 독일대사 역시 후보군에 올라있다.
이날 북한의 도발로 국가안보실장을 군 출신으로 중용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황기철·송영무 전 해군참모총장과 박종헌 전 공군참모총장, 육군 3야전군 사령관을 역임한 백군기 전 의원 등 대선 기간 안보관 공세를 받았던 문 대통령의 버팀목이 되어준 군출신 인사들도 후보군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안보실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외교·국방·통일장관이 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