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으로 광화문광장을 시민민주공간으로 재구조화하는 정책은 유력 대선후보인 문재인, 안철수 후보의 대선공약으로 받아들여졌다.
국가 상징공간이자 촛불집회의 현장인 광화문광장은 비폭력 평화시위를 통해 결국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을 이끌어낸 세계적인 민주주의 혁명의 모범사례 현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이 불거진 지난해 10월 이후 130여 일 동안 모두 20차례나 열린 촛불집회에는 서울 광화문광장 등 전국에서 연인원 1600만 명의 시민이 참가했다.
박 시장은 '거대한 중앙분리대'라는 오명을 쓴 광화문광장을 보행전용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고 광장의 역사성을 회복하는 시민중심 민주주의 공간으로 재조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 시장은 그 동안 박근혜 정부의 비협조로 사실상 좌절된 이 사업을 새 정부 출범에 맞춰 다시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기에 문재인 후보는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으로 옮기겠다는 구상을 밝히는등 적극적이어서 광화문 재구조화 사업은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용산국가공원 추진에는 문재인,안철수 후보는 물론 심상정 후보도 적극적인 찬성의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용산미군기지는 올해말 평택기지로 이전이 시작될 예정인데 기름유출 등 심각한 오염문제가 불거지고 부지 현황조치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면서 논란을 빚고 있다.
이에따라 새 정부에서 미군기지 이전과 함께 용산공원으로 조성되는 과정에서 시민들의 참여로 민족성, 역사성, 문화성을 갖춘 국민자연생태 공간으로 조성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밖에도 도시재생 정책과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등 박 시장이 추진한 핵심사업 등이 대선후보 공약으로 포함되면서 새 정부 출범 이후 전국 확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도시재생 정책은 사실 박원순 서울시장의 핵심 사업으로 그동안의 철거 중심의 도시개발 방식에서 낙후된 동네를 주거 안정 중심으로 재정비하는 도시재생 개념을 도입해 서울시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현재 서울 종로구 창신·숭인지역을 비롯해 낙원상가 일대, 창동·상계, 성수동, 서울역고가 등 여러 곳에서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는 주민이 동사무소를 찾는 대신 거꾸로 공무원이 주민 집을 찾아가 도움을 줄 게 있는지 살피는 사업이다.
지난 2014년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숨진 '송파 세모녀 사건' 뒤 만들어진 뒤 올해 시행 3년 째를 맞으면서, 앞으로 서울 각 자치구는 물론 전국 확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서울시 정책들은 그동안 박 시장 재임 5년동안 검증이 된 것이어서 당장 실행하기도 쉬울 뿐더러 전국화 시키기에도 어려움이 없어 새 정부에서도 추진이 용이할 전망이다.
앞서 서울시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 정부에 건의할 10대 분야 66개 정책을 지난 13일 발표하고 모든 정당이 공약에 반영해 국가정책화할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