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본청 1층 동쪽에 위치한 정론관은 기자회견장·취재기자실·TV카메라기자실·종편기자실·2층 사진기자실·휴게실을 포함해 약 585평 규모다. 100여 군데의 신문·방송·통신사가 정론관에 상주하며 국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취재한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곳은 기자회견장이다. 국민이 선거로 뽑은 국회의원 300명이 언론과 국민들에게 공식적으로 보고하는 창구이자 사회적 약자들이 국회의원의 소개를 받아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공론장이다.
회견장 내에서 발표자와 기자 간 의사소통은 거의 없다. 공론장과는 거리가 먼 모습이다. 국회를 오래 출입한 기자들에 따르면 정론관이 생기고 나서는 회견을 한 뒤에 즉석에서 질의응답이 이뤄지곤 했지만 요새는 그렇지 않다고 한다. ‘기사거리’가 될 만한 사안에 한해 회견장 밖에서 질의응답이 이뤄진다. 발언자와 기자가 비공식적으로 문답하는 ‘백브리핑’이다. 국회를 출입하는 한 통신사의 모 기자는 “화제성이 큰 인물이 방문할 경우엔 회견장 밖에서 발 디딜 틈도 없는 취재 경쟁이 벌어진다”고 말했다. 일종의 취재관행으로 굳어진 백브리핑은 그러나 정론관 안에서 한 기자회견 내용 보다는 다른 문제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주로 오간다.
기자회견장에는 하루 종일 국회의원, 정당 관계자, 사회 단체 등이 각종 입장을 발표하러 온다. 사전 신청을 받아 하루에 공지되는 회견만 평균 5~6개다. 국회의원, 정당대표, 대변인 등의 단독 기자회견 때는 사전신청 없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수시로 회견이 열린다. 발언시간이 짧게 제한되기 때문에 이러한 ‘틈새’ 회견까지 하루에 10회 이상의 회견이 진행되기도 한다. 어떤 ‘깜짝 발표’가 나올지 몰라 기자들이 상시 모니터링 해야 하는 곳이기도 하다.
대선 기간인 요즘은 각 후보의 일정에 따라 취재를 나가기 때문에 비교적 한산한 편이다. 회견도 사회 각 단체의 후보 지지 선언을 위해 열리는 경우가 많다. 21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지지하러 온 단체만도 3곳이었다. 의원들은 선거와 관련된 입장 발표를 위해 발걸음하고 있다.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은 문 후보가 아들 준용씨의 특혜채용 문제에 대해 고발한 것에 맞고소를 했다며 ‘문재인 아들 특혜채용’ 의혹에 더욱 불을 지폈다. 이밖에도 각 당에서 문 후보의 ‘주적’ 발언과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둘러싼 논란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의 ‘돼지발정제’ 논란과 관련해 전·현직의원들의 사퇴촉구 회견이 열리기도 했다.
대선을 맞이해 정치인들 외에도 사회의 다양한 단체가 더욱 목소리를 크게 표출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사거리가 되지 않는 회견은 기자들의 관심 밖이다. 유명 정치인에게만 관심이 쏠리는 현상은 ‘정론’의 본질과는 거리감이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