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m 높이의 펄 위에 4~5m가량 적재된 쓰레기.. "수색 시간 예측 어려워"
- 미수습자 가족에 수시로 작업상황 통보, "가족들 의견 반영에 최대한 노력"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7년 4월 18일 (화) 오후 6시 30분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공길영 교수 (한국해양대)
◇ 정관용> 드디어 오늘 세월호 선내의 미수습자 9명 수색하는 작업이 시작이 됐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진행이 될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시죠. 공길영 교수, 한국해양대 공길영 교수님 연결합니다. 안녕하세요.
◆ 공길영> 안녕하십니까.
◇ 정관용> 오늘 오후 1시부터 수색이 시작됐다고요.
◆ 공길영> 네, 그렇습니다. 그 사이에 벌써 유류품이 여러 개 발견됐다고요?
◆ 공길영> 그렇습니다.
◇ 정관용> 몇 명 정도가 지금 작업에 참여하고 있습니까?
◆ 공길영> 현재 선내 3개 통로로 우리 탐색조가 들어갔습니다. 이제 수중수색시에 들어갔던 것처럼 우현 쪽으로 공중으로 들어가는 방법 하나하고 또 선수 앞쪽으로 좌현 쪽으로 접근하는 방법 그리고 선미 뒤쪽에서 이렇게 접근하는 방법, 3개 통로로 들어갔는데 현재 각 3개 통로당 대기조를 포함해서 3개 조로 분산돼 있고 그러면 3 곱하기 3이면 9개 조고. 각 조에 8명씩 분담돼 있어서 총 72명이 현재 수색에 임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럼 여전히 이런 저런 진흙이라든지 이런 것들 있으면 조금씩조금씩 치워가면서 통로 만들고 이런 작업이 이루어지는 거군요, 현재로서는.
◆ 공길영> 현재 각 조에 제일 먼저 통로를 개척하는 탐색조가 앞서서 여러 장애물을 제거해 주고 그리고 그 뒤에 유해발굴조가 들어갑니다. 여기에는 국군유해발굴반도 있고 또 과학수사대도 있고 해경에서도 들어가서 진흙 속에 묻혀 있을지 모를 그런 유해들을 기술적으로 발굴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발굴이 되면 그다음에 수습조가 그 유해를 밖으로 들고 나와서 DNA 검사 등을 거쳐서 유가족에게 인계하는 그러한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 공길영> 저희들이 먼저 추정위치를 잡기 위해서 제일 먼저 참조를 했던 것은 수중수색 과정에서 장애물 등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객실을 최우선으로 살펴봤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미수습자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통화했다거나 옆의 친구들한테 탐문한 그런 내용들이 있습니다. 그 내용들을 또 참고를 했고 그리고 세월호에서 발견된 CCTV 영상이라든지 여러 가지 영상을 참조로 해서 추정위치를 유가족과 협의를 해서 정했습니다. 그래서 1차적으로는 그 추정위치 쪽으로 탐색조를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그런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 추정위치를 일단 1차 탐색이라도 하게 되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
◆ 공길영> 시간이 지금 현재 좌현 쪽에 펄이 약 1m 정도 차 있습니다. 그 위로 우현에서 쏟아진 여러 가지 쓰레기들이 4~5m 정도가 쌓여 있기 때문에 현재 우리가 접근하려고 하는 통로에 어느 정도 쓰레기가 있는지에 대한 추정이 돼야 되고 그 쓰레기들을 또 밖으로 빼내야 됩니다. 그런데 이제 혹시 미수습자가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그냥 빼낼 수는 없고 조심조심 손으로 빼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얼마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미수습자 아홉 분을 다 수습할 때까지 단계별로 차근차근 접근해 간다는 그런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 공길영> 그렇습니다. 저희가 2단계로 잡고 있는 건 주로 여객들이 머물렀던 3층, 4층 그리고 또 마지막의 위험한 순간에 막 5층까지 뛰어올라갔던 그런 증언을 저희가 들었습니다. 그래서 3, 4, 5층에 대한 전반적인 수색을 2단계로 잡고 있고 그래도 수습이 안 되면 화물칸을 비롯한 선내 전반에 대한 수색을 3단계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 정관용> 아까 9개 조, 1조당 8명, 72명 그렇게 처음 말씀 들을 때는 인원도 상당히 되는구나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마는 지금 추정위치도 여러 곳이고 치워야 할 것도 많고 이런 말씀 들으니까 인원을 좀 더 늘려야 되는 거 아닙니까?
◆ 공길영> 1단계로 일단 통로가 개척돼서 본격적인 수습에 들어가면 그 인원을 더 늘려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렇게 할 계획입니다.
◇ 정관용> 특히 그런데 유해발굴, 유해수습에 직접 참여하실 분들은 그 분야에도 전문성이 있어야 되지 않을까요? 그런 전문적 인력이 충분할까요?
◆ 공길영> 지금 우리 국내에서 아까 말씀드린 국방부의 유해발굴단이라든지 우리 국립과확수사단에 있는 분들 그리고 또 해양경찰 쪽에 있는 분들을 총동원을 했습니다. 그런데 역시 말씀하신 것처럼 아직까지 전문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사전에 저희가 전문교육을 다 시켰습니다. 안에 들어가는 분들에 대해서 진흙은 어떻게 수습을 하고 또 유해는 어떻게 하고 이런 사전교육은 받아서 작업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 정관용> 미수습자 가족분들하고는 모든 앞으로의 추진 계획에 대해서 다 합의가 잘 이루어지고 계신 거죠, 소통이.
◆ 공길영> 네, 미수습자 가족께서 가장 섭섭하게 생각했던 게 작업에 대해서 수시로 통보가 안 온다.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른다, 이런 말씀 많이 하셔서 저희가 계획수립 단계부터 시작해서 아까 말씀드린 추정위치를 정할 때도 우리 미수습자 가족들의 의견을 청취해서 그 부분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그렇게 협의도 하고 했습니다.
◇ 정관용> 알겠습니다. 교수님, 애 많이 쓰시는데 더 좀 노력해 주세요. 고맙습니다.
◆ 공길영> 네, 감사합니다.
◇ 정관용> 세월호선체조사위원회 공길영 교수였습니다.
[CBS 시사자키 홈페이지 바로 가기]
[CBS 시사자키 페이스북 페이지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