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에 공군기지 안돼…새 대통령 확답받을 것"

원희룡 제주지사 도의회 도정질문서 "제2공항은 순수민간공항" 재천명

원희룡 제주지사가 11일 제주도의회 제350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제주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이라며 공군기지 설치는 안된다고 천명한 뒤 새 대통령으로부터 확답을 받겠다고 말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공)원희룡 제주지사가 11일 제주도의회 제350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제주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이라며 공군기지 설치는 안된다고 천명한 뒤 새 대통령으로부터 확답을 받겠다고 말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공)
원희룡 제주지사가 제주 제2공항은 순수 민간공항으로 어떤 군사시설도 배제하겠다고 거듭 천명했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대통령으로부터 확답을 받겠다는 말도 했다.

11일 제주도의회 제350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고용호 의원(서귀포시 성산읍, 더불어민주당)은 공군이 제2공항과 공군기지의 연계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며 원희룡 제주지사가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고 의원은 이어 경기도 화성시가 5개팀 20명으로 '군공항 이전 대응 대책본부'를 꾸려
대응한 사례를 소개하며 제주도도 대응팀을 구성할 계획이 있는지를 물었다.

고 의원은 또 제주도가 군사기지화될 수 있다는 도민사회의 우려가 커지는 만큼 군 공항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 제19대 대선 공약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원희룡 제주지사는 국토교통부와 제주도는 제주 제2공항이 순수민간공항으로 계획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고 답했다.

제주도의회 고용호 의원이 11일 도정질문에서 제2공항 공군기지 연계의혹을 원희룡 지사에게 질의하고 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공)제주도의회 고용호 의원이 11일 도정질문에서 제2공항 공군기지 연계의혹을 원희룡 지사에게 질의하고 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공)
원 지사는 이어 국방부와 공군은 제2공항과 관련해 어떤 사업주체도, 이해관계 당사자도 아니며 국방부 등의 입장과 발언에 대해 검토는 물론 협의 자체도 원천 배제하겠다는 것을 천명한다고 말했다.


특히 5월 9일 새로 선출되는 대통령으로부터 군 공항이 아니라는 확답을 받겠다고 원
지사는 약속했다.

국가 안보를 이유로 밀어붙일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부대 신설을 전제로 한 공항 건설이 진행되지 않도록 대통령과 협의하겠다는 것이다.

원 지사는 도민들의 의견을 비롯해 국토부와 그동안 진행된 내용을 토대로 새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며 제2공항은 공군의 부대 신설과 사용을 배제한 채 새 대통령과 협의해 확정을 받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1997년 국방중기계획에서 공군은 제주에 공군기지를 설치하겠다고밝혔다. 2006년에는 사업명이 '제주공군기지'에서 '남부탐색구조부대'로 바뀌었다.

이후 정석공항과 협상이 진행됐지만 무산됐고, 서귀포시 모슬포에 있는 알뜨르 비행장을 무상으로 양여하는 것에 대한 반대급부로 신공항에 공군 수송기가 사용하도록 배려하는 방안이 추진됐다.

원 지사는 이에 대해 당시의 신공항은 현재의 제주공항을 폐쇄하고 새로 짓는 대규모 단일공항을 뜻하는 것으로, 해당 신공항 계획 자체가 무산됐기 때문에 당시 진행됐던 국토부와 제주도, 국방부 3자간 협의내용은 아무런 효력이 없다고 설명했다.

원 지사는 이어 국방중기계획은 1997년에 수립된 뒤 20년째 집행되지 못하고 있다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국방중기계획에도 남부탐색구조부대를 설치하는 내용이 들어갔지만 국방부의 희망사항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