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농식품 수출시장에 급제동이 걸리면서 올해 수출 목표 달성에 비상이 걸렸다.
◇ 올해 2월까지 농식품 수출액 12.8%25 증가
농림축산식품부는 2월까지 농식품 수출액은 10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9억1000만 달러에 비해 12.8%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전체 수출액의 18.9%인 1억940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태국 등 아세안이 1억8200만 달러(17.7%), 중국 1억5600만 달러(15.2%), 미국 1억1000만 달러(10.8%)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일본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8.8%, 중국은 16.5%, 아세안 13.3%, 미국은 5.7% 각각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라면이 맵고 자극적인 맛을 선호하는 동남아 시장 등에서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73.8%나 급증한 6000만 달러의 수출실적을 기록했다.
또한, 인삼의 경우도 중국의 재고물량이 감소하면서 신규 수요가 늘어나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7.9% 증가한 2200만 달러가 수출됐다.
신선농산물인 딸기도 올해 국내 생산량이 늘어난 데다 홍콩과 싱가포르, 태국 등 아세안 소비자들 사이에 인기를 끌면서 무려 44.6% 증가한 1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농식품 관련 수출 목표액을 100억 달러로 잡았다. 하지만 연초부터 중국이 사드 보복으로 한국 식품에 대한 통관과 검역 강화가 우려되면서 암초를 만나게 됐다.
실제로 농식품부가 국내 주요 12개 수출업체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1개 업체(롯데)가 통관거부됐고, 4개 업체는 서류나 라벨링 심사 등이 전반적으로 강화됐다고 답했다. 나머지 7개 업체는 평소와 비슷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경규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중국의 사드보복 이후) 국내 농식품 수출업체들이 불편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또, "향후 중국 당국에서 한국산 제품에 대해 심사 절차를 강화하고 절차를 지연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3월 이후에 쉽지 않은 상황이 분명히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중국 대체 시장인 미국과 일본도 녹녹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특히,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면서 한국산 농식품에 대한 비관세 무역장벽을 강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김 실장은 "미국 자체도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무역)정책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다만, 농업분야는 일반 산업분야와 달리 자유무역주의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수출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는 또, "일본의 경우도 정치적인 영향이 없다"며 "정상적인 무역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중국 수출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미국과 일본으로 수출전선을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농식품부는 올해 농식품 관련 수출 목표액을 100억 달러로 잡았으나, 이 가운데 순수 농식품 수출액은 70억 달러로 지난해 목표액 81억 달러 보다 오히려 축소했다.
이에 대해 김 실장은 "목표액을 축소한 것은 중국과 미국, 일본 등에 수출이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 아니라, 과거에 기계적으로 수출목표액을 늘려잡았던 것을 이번에 현실에 맞게 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