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16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월평균 소득은 439만 9천원으로 집계됐다. 일년전보다 0.6%p 늘었지만 2003년 이후 가장 작은 폭의 미미한 증가다.
월평균 지출은 336만 1천원으로 일년전보다 0.4%p 감소했다. 해당 통계를 작성한 2003년 이후 지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긴 이번이 처음이다.
소득별로는 사업소득을 뺀 모든 분야에서 지표가 악화됐다. 근로소득의 경우 월평균 294만 8천원으로 일년전보다 1.0%p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5년의 1.6%p 증가율보다 크게 둔화된 수치다.
이전소득 역시 기초연금 도입 효과 감소 등의 영향으로 2.1%p 증가한 44만 6천원에 그쳤다. 일년전 증가폭은 9.4%p였다.
다만 메르스 사태로 크게 감소했던 사업소득은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1.5%p 증가세로 전환됐다.재산소득은 저금리 기조에 18.4%p 감소했다.
이에 따라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358만 8천원으로 일년전보다 0.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식료품·비주류음료는 1.3%p, 의류·신발은 2.4%p 각각 지출이 감소했고, 통신비 역시 2.5%p 줄었다. 반면 담배와 술에 지출한 돈은 일년전보다 5.3%p 증가했다. 특히 담배는 담뱃세 인상 이후에도 판매량이 크게 줄어들지 않으면서 7.5%p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처럼 가계지출이 사상 첫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평균소비성향도 역대 최저인 71.1%를 기록했다. 가처분소득에서 얼마나 소비지출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한 달에 100만원을 벌었다면 71만원만 썼다는 얘기다.
특히 지난해 4분기의 경우 평균소비성향은 69.7%를 기록, 사상 처음 70% 아래로 주저앉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성향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며 "저출산과 고령화 영향으로 소비지출이 줄어든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