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 민관이 손을 잡고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점하고자 컨트롤타워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주형환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자동차산업 발전위원회' 출범식 겸 1차 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과 후발주자의 추격, 불확실한 통상 여건 등으로 자동차산업이 중대한 전환기에 선 가운데 우리 자동차산업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국가적인 역량을 하나로 결집할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출범 이유를 설명했다.
출범식에는 정진행 현대차 사장, 박한우 기아차 사장, 제임스 김 한국지엠 사장, 박동훈 르노삼성차 사장, 최종식 쌍용차 사장 등 국내 5개 완성차업계 대표와 김용근 자동차산업협회장, 신달석 자동차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유병규 산업연구원장, 김병수 자동차부품연구원장, 박청원 전자부품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자동차산업 발전위원회는 앞으로 추진할 7대 정책 어젠다로 ▲ 미래 자동차의 경쟁력 강화 ▲ 자동차 부품산업 생태계 혁신과 융합 촉진 ▲ 자동차 연관 서비스 신산업 창출 ▲ 수출 구조 혁신과 통상정책의 전략적 사용 ▲ 산업발전과 환경·안전 규제의 조화 ▲ 국제 수준에 부합한 노사관계 정립 ▲ 자동차산업 정책 컨트롤타워 구축을 선정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아직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역량이 부족한 자동차부품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책을 내놓았다.
올해 자율차 센서 등 연구개발(R&D)에 1천100억원을 지원하고, 미래 자동차 분야 융합형 인재 400여명을 양성한다.
자동차 제조 전 과정에 첨단기술을 접목하는 스마트공장은 2020년까지 현재의 3배 수준인 2천500여개로 확대한다.
우리 자동차산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미국 등 일부 국가의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각적으로 대비한다.
주 장관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미국 자동차의 한국 수출이 연평균 35.5% 늘어났으며 우리 기업의 현지 투자 또한 증가해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한 점을 잘 설명해 한미 FTA에 대한 미국 측의 오해를 풀겠다"고 말했다.
자동차산업 발전위원회는 산하에 분야별 실무협의체를 운영하고 상반기 중 세부적인 액션플랜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