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류 명태 상당수 북한해역 넘어가, 월북 차단 가능할까?

1만 5천마리 중 2마리 국내 서식 확인

정부가 국내 해역에서 사라진 명태를 복원하기 위해 2014년부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의미있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인공 방류한 명태 가운데 상당수가 북한 해역으로 넘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대비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속초에서 잡힌 명태 67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 가운데 2마리가 지난 2015년 12월 고성 앞바다에 방류한 인공 1세대 명태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23일 전했다.

이보다 앞서 해수부는 2014년부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해, 자연산 명태의 수정란에서 부화된 인공 1세대 어린명태(20cm) 1만5000마리를 지난 2015년 12월 방류한 바 있다.

장묘인 해양수산부 수산자원정책과장은 "방류한 명태가 동해안에 정착해서 살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유전자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는 점이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장 과장은 또,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명태 완전양식에 성공했다"며 "대규모 치어 생산이 가능해 진 만큼 동해안에서 명태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해수부는 인공 부화된 명태 치어를 양식해서 지난해 10월에 2세대 치어를 생산하는 완전양식에 성공했다.

하지만, 지난 2015년 12월 방류한 1세대 어린명태 1만5000마리 가운데 지난해 2마리가 잡혔다는 것은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의 효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사실 명태는 한류성 어종이기 때문에 바다 수온이 낮은 북한 해역으로 상당수가 넘어갔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번에 우리나라 해역에서 2마리가 잡혔다는 것은 국내 해역도 서식환경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앞으로 2세대 어린명태를 대량 방류할 경우 우리나라 해역에서도 명태 복원이 얼마든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해수부는 명태 서식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를 진행해 어린 명태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