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뛰는 기술, 기는 정부'…법정비 등 대책 시급

글로벌 車업계 조기 상용화 총력전…"적기 대응 못하면 차산업도 희망없어"

자율주행차가 자동차 업계는 물론 세계 경제의 키워드로 떠올랐다.

지난 8일 폐막한 '2017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세계 유수의 완성차 업체들은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를 공식화하는 등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은 사실상 완성 단계에 진입했지만 인프라 구축과 법정비 등 정부 대응은 거북이걸음을 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BMW·혼다·현대기아차 등 글로벌 車업체,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 '총력'

지난 8일 폐막한 '2017 CES'의 화두는 단연 자율주행차였다.

현대차, 벤츠, BMW, 폭스바겐, 포드, 혼다, 도요타, 크라이슬러 등 유수의 완성차 업체들은 저마다 자율주행차를 선보이며 기술력을 과시했다.

이번 전시회는 자동차 업체는 물론 업종이 다른 기업 상당수가 자율주행차와 관련한 제품을 잇따라 선보이면서 '전자제품박람회'가 아니라 '모터쇼'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였다.

특히 BMW 그룹은 오는 2021년 완전한 자율주행차 출시를 공식화하는 등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MW 그룹 클라우스 프렐리히 개발 총괄 보드멤버는 "올해에는 BMW 자율 주행 차량들이 세계 도처의 실제 교통 조건 하에서 시범 운행될 예정"이라며 "이는 2021년 BMW 그룹 최초의 완전 자율주행자동차가 될 'BMW i넥스트(iNEXT) 출시를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말했다.

혼다는 자율주행 전기차인 '뉴브이(NeuV)' 콘셉트카를 선보이며 본격적인 상용화 경쟁에 가세했다. 출퇴근용 자율주행 전기차인 뉴브이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기계 스스로 감정과 의사를 생성하는 '감정 엔진'을 탑재, 운전자와 교감한다.

현대자동차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기조 연설을 하고 있는 정의선 부회장 (사진=현대자동차 제공)
현대·기아자동차도 자율주행차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차가 올해 CES를 통해 공개한 아이오닉 자율주행차는 기술 시연 조건이 까다로운 대도심 야간 자율주행에 성공하며 기술력을 과시했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CES 기조연설을 통해 "최신의 지능형 안전 기술을 보다 많은 고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양산차에 적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기술 개발 선도기업으로 올라서기 위해 글로벌 IT기업들과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기아차는 2020년까지 고도 자율주행을, 2030년까지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내걸었다.이를 위해 스마트카 분야에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약 2조원을 투자해 자율주행, 차량IT 기술 수 준 향상, 차량용 반도체, 자율주행 핵심 부품 등의 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미래 스마트카 경쟁에서 선두권 업체로 도약하기 위해 협력업체와 부품 공동 개발, 핵심 기술 국산화, 인재 육성 등에 투자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아이오닉 자율주행차가 라스베이거스 시내에서 시연하고 있다. (사진=현대기아차 제공)
◇ 상용화 기반 논의 전무…"이업종 간 협업, 인프라·법제도 연계 정부 지원 시급"

자율주행 기술은 사실상 완성 단계에 진입했지만 인프라와 법규정 등 상용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와 업계간 논의와 정부 차원의 지원은 사실상 전무하다.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조작없이 스스로 주행환경을 인식하고 주행경로를 판단해 달리는 자동차를 뜻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와 주행 환경에 대한 기술은 물론 사고 발생시 법적 책임과 보상 등 자동차 외적인 문제까지 완전히 해결되야 상용화가 가능하다.

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자동차기술연구본부장은 "글로벌 (자동차)시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자동차 산업국의 위상마저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국민·산업·사회 간 협력을 통해 범국가 차원의 역량을 결집하고 이업종 간 협업, 안전성 및 신뢰성을 위한 실증, 인프라 및 법제도 연계를 위한 패키지형 정부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자율주행 관련 서비스 사업 모델 창출을 위해 자율주행과 연계한 고부가가치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실증 환경에서 다양한 시나리오 검증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업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수준의 자율주행 실증존을 구축하고 통신 인프라, 위치측정시설, 교차로연계시설 등이 지원되도록 하는 등 국내 기업의 사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얘기다.

여기에 자율주행차의 적기 실용화와 사업화의 관점에서 관련 기술을 허가하기 위한 제도와 법규 정비가 필요하다는 견해도 힘을 받고 있다.

업계에서는 자율주행차 보급에 걸림돌이 되는 과도한 규제는 일괄적으로 개선하고, 실증 지역에서 규제를 먼저 완화한 뒤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자동차 업계를 넘어 향후 세계 경제의 판도를 가를 핵심 산업으로 떠오른 만큼 정부와 업계,사회간 논의와 정부 차원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