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편향 기술 지적에 곳곳에서 오류까지 속출하자, 오는 23일 의견 수렴 종료를 2주 넘게 남긴 시점에서 이례적으로 해명에 나선 것이다.
교육부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 금용한 단장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닷새간 984건의 의견이 접수됐다"며 "이 가운데 명백한 오류를 지적한 13건은 완성본 제작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금 단장은 또 "접수된 의견 가운데 85건은 반영 여부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학술적 검토를 진행중"이라고 설명했다.
완성본에 반영하기로 결정된 13건은 '세형동검 출토지역'이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다르게 표시되거나, '과달카날 섬'을 '과달카나 섬'으로 잘못 적는 등 오류가 명백한 내용들에 한정됐다.
교육부는 그러나 파독 광부와 간호사 상황, 1960∼1970년대 경제성장 과정에서 국민의 노력을 추가 기술해야 한다는 의견 등 85건은 '검토 필요 사항'으로, 대한민국 수립 시점이나 국정화에 대한 비판 등 886건은 '참고사항'으로 분류했다.
특히 이날 배포한 36쪽의 보도자료 가운데 32쪽을 언론과 학계 등 각계각층의 지적에 대한 해명과 반박에 할애, '중간 결과' 발표의 배경을 짐작케 했다. 그중에서도 전문가들로 구성된 역사교육연대회의가 지난달말 지적한 내용을 반박하는 데 20쪽 분량을 할애했다.
금 단장은 "일부 단체는 일제시대 서술에서만 오류·논란이 100여건, 중학교 역사 두 권에선 500여건에 이를 것이라고 주장했다"며 "구체적 오류 내용을 공개하지 않은 채 오류가 많은 것처럼 비판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출된 검토 의견은 매일 국사편찬위원회로 전달되고 있다"며 "각 단원별 집필진 등이 학문적 타당성과 교육과정 부합성 등을 기준으로 반영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또 논란이 된 현대사 '비(非)전공' 집필진 구성에 대해서도 "정치사·경제사·군사사를 전공한 전문학자들"이라며 "기존 검정교과서 8종의 현대사 집필진 가운데는 박사급 집필진이 4종 6명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