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2선 후퇴란 표현은 책임내각, 거국내각과 맞물려진 것같은데, 현행법상 2선 후퇴라는 용어는 법 상에 있는 게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내치(內治)와 외치(外治) 분리라는 것은, 최대한 정치적으로 현행 법체계 안에서 여야 간 협의를 통해 책임총리 권한을 주는 쪽으로 이해해야 한다"며 "(내치 외치가 분리되는) 개헌도 안된 상황에서 대통령이 모든 것에서 물러날 수 있는 근거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책임총리·거국내각총리의 개념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여야와 협의해 힘있게 내정을 이끌어간다는 뜻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박 대통령이 국정주도권을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고수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최순실 정국의 해법으로 거국내각과 책임총리제, 대통령 2선 후퇴 등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청와대는 대신 김 총리내정자에게 법률상 최대한의 권한을 부여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야권이 요구하는 총리내정 철회 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사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이 관계자는 "김병준 내정자에게 모든 권한을 드리겠다는 것은 분명하다. 현행법에서 수행할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을 드린다"며 "대통령은 총리 인사청문 절차를 조속히 끝내주십사 하는 부탁을 야당에 간곡하게 드릴 것"이라고 밝혔다.
야권에 대한 총리 임명동의 협조 요청은 향후 박 대통령의 야당대표 회동 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 대야 접촉을 위해 국회를 방문한 한광옥 비서실장과 허원제 정무수석이 박 대통령의 이같은 입장을 전할 예정이다.
야권 요구에 대해 현실적 한계를 들어 청와대가 부정적 입장을 밝힌 이상, 야권의 협조가 원활히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이를 감안한 듯 청와대는 총리 임명동의안의 국회 제출을 서두르는 등 '강행'으로 인식될 행보를 취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임명동의안 제출을 준비 중이기는 하지만, 야당과의 회담 등 여러 정치상황을 봐가면서 처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염수정 추기경을 청와대로 초청해 민심 수습책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오후에는 개신교 원로들을 만나는 박 대통령은 향후 불교 등 종교계 원로들도 잇따라 만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