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정신질환자들에게 상담, 관리, 교육, 훈련 서비스를 제공해 지역 사회내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일반시민, 아동청소년 역시 서비스 대상에 포함된다. 그리고 일반 상담, 캠페인, 응급 출동, 행정 업무까지 본다.
하지만 인력은 부족하다. 한 자치구를 담당하는 센터의 인력은 고작 10여 명. 야근은 기본이다. 간혹 위험한 행동을 보이는 정신질환자들과의 상담, 응급 출동 상황에도 혼자서 호루라기 하나 챙겨 출동하는 경우가 많다.
고용 역시 불안하다.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사용자는 서울시, 자치구, 보건소에 순차적으로 위탁을 한다. 하지만 이들의 고용 책임을 물을 때 나서는 주체는 없다.
위탁 업체는 3년마다 바뀌고, 그때마다 쌓아 놓았던 휴가는 커녕 재계약도 보장받기 어렵다. 보건소와 직영 계약을 하는 경우에는 10개월, 14개월로 '쪼개기 계약'을 한다.
우리나라는 성인 6명 중 1명이 1년에 1회 이상 정신질환을 경험한다고 한다. 또 40분 마다 한명 씩 죽음을 스스로 선택한다고 해서 '자살공화국'이라는 오명도 껴안고 있다.
이들이 거리로 나섰다. 왜 파업을 하고 있는 지 이유를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