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 노트7 사태와 현대자동차 파업으로 제조업 성장률은 7년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건설경기 활황과 정부의 추경 편성 등에 힘입어 성장률 급락은 막을 수 있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6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3분기 우리나라 GDP는 377조9524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7% 증가했다.
지난 2분기 0.8%보다는 0.1%포인트 감소했지만 4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하지 않는 한 한은이 전망한 올해 전망치 2.7%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GDP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0.7%)부터 4 분기 연속 0%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로는 2.7%를 기록했다.
3분기 성장률은 현대자동차 파업과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의 리콜 사태,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에도 불구하고 추경집행으로 정부 지출이 늘고, 건설경기 활황세에 힘입어 그나마 전분기 대비 0.1%포인트 하락에 그쳤다.
3분기 정부소비 증가율은 1.4%로 2분기(0.1%)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부동산 경기 활황으로 건설투자도 2분기 3.1%에서 3.9%로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민간소비는 개별소비세 인하가 종료되면서 2분기 1.0%에서 0.5%로 떨어졌다. 설비투자는 2분기 2.8%에서 3분기 -0.1%로 급락했다.
수출은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이 늘어 0.8% 증가했다. 수입은 기계류, 거주자 국외 소비 등을 중심으로 2.4%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현대차 파업과 갤럭시 노트7 파동으로 2분기 1.2%에서 3분기 -1.0%로 급락했다. 2009년 1분기(-2.5%) 이후 7년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폭염으로 전력판매량이 급증하면서 전기가스수도사업은 6.9% 증가했다. 1999년 4분기(7.9%) 이후 16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건설업은 부동산경기 활황에 힘입어 2분기 1.0%에서 3분기 4.4%로 큰 폭으로 늘었다.
서비스업은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등이 줄었으나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부동산 및 임대업 등이 늘어 1.0% 성장했다.
3분기 성장률은 내수가 주도했다.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1.3%포인트였으나 수출은 -0.6%로 오히려 성장률을 까먹었다.
민간과 정부의 성장기여도는 각각 0.2%포인트였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0.3%로 2분기에 이어 2분기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일부 수입품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