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마르크에서 히틀러까지, 전쟁제국의 탄생과 종말

신간 '비스마르크에서 히틀러까지'의 저자 하프너는 독일 제국 건설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 독일 제국의 팽창과 몰락의 비밀을 파헤친다.

하프너에 따르면, 제국의 건설자인 비스마르크는 결코 ‘전쟁제국’을 의도하지 않았다. 비스마르크가 바란 것은 세계를 지배하는 거대 제국이 아니라, 그저 ‘작은 도이칠란트’였다. 즉, 신성로마제국의 해체로 인해,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이라는 두 강대국을 위시해 수많은 왕국과 작은 국가와 자유도시들로 분열된 상황에서, ‘골치 아픈 다민족국가 오스트리아’마저 배제하고 독일 민족만의 작은 통일 국가를 세우는 것이 비스마르크의 애초 계획이었고, 실제로 결과도 그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비스마르크의 의도와 달리 독일 제국은 건설 당시부터 전쟁제국의 씨앗을 품고 있었다고 또한 하프너는 분석한다.

하프너는 그 원인을 우선은 지정학적인 위치에서 찾는다. 독일 제국은 처음부터 다른 강대국들에 둘러싸인 채, 마치 적들에게 꼼짝없이 포위당한 듯한 형국으로 탄생한다. 서쪽으로는 프랑스와 영국, 남쪽과 남동쪽에는 아직 강대국이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동쪽에는 강력한 러시아가 버티고 있었다. 어디로도 진출할 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도이치 제국은 이제야 비로소 큰 나라가 되었고, 당연히 더 커져야겠다는 큰 나라의 본능도 함께 생겨났다. 이 본능은 말하자면 강대국으로 자라나는 요람 안에 이미 들어 있었던 셈이다.”(본문 18쪽)

게다가 독일 제국은 그들 자신에게는 ‘작은 도이칠란트’였지만, 주변 강대국들에게는 거대한 위협이었다. 주변 국가들은 자신들이 독일 제국보다 약하다고 느꼈기 때문에 끊임없이 연합을 맺고 동맹을 찾으려고 애썼다. 실제로 독일 제국은 “유럽의 다른 어떤 강대국보다 군사적으로는 아마도 더욱 강력했다. 하지만 제국을 둘러싼 강대국들의 그 어떤 연합보다도 당연히 더 약했다.” 그리하여 이 신생 제국에게 연합은 늘 두려운 존재였다. 그들은 연합의 탄생을 방해하기 위해, 적들의 동맹에서 한 나라라도 떼어내기 위해 사력을 다했다. 이 당시에는 전쟁이 “궁극적 이성(理性)의 일, 곧 가장 진지한 최종 정책 수단”이었기에, 오랫동안 완충지대 역할을 했던 이 땅이 화약고가 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수밖에 없었다.

독일 제국의 지정학적인 위치나, 전쟁도 불사하는 제국주의의 속성 외에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하나 더 있다. 바로 민족주의다. 물론 민족주의는 어느 날 별안간 생겨나지 않았다. 하프너는 초기 민족주의 운동에 이미 뒷날 나치즘의 전조가 되는 울림들이 담겨 있었다고 말한다. 끔찍한 자만심과 자기 숭배, 독일 민족이 현실적이고 참된 유럽 최고 민족이라는 생각은 이미 오래전부터 뿌리내린 것이었다. 예컨대 작가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1777~1811)는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끔찍한 미움을 담아 일찍이 이렇게 일갈했다. “놈들을 때려죽여라! 세계 법정은 너희에게 그 원인을 묻지 않으리.”(본문 27~28쪽)

그리고 1890년, 비스마르크가 퇴임하고 빌헬름 2세 황제 시대가 시작되면서 독일인들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민족주의가 꿈틀대기 시작한다.

비스마르크가 물러난 다음에 일종의 ‘대국(大國) 감정’ 같은 것이 생겨났다. 빌헬름 황제 시대에 매우 많은 도이치 사람들이, 그것도 가능한 모든 계층 출신 사람들이 갑자기 원대한 민족적 전망, 민족적 목적을 눈앞에 그렸다. “우리는 세계적 강대국이 된다, 우리는 전 세계로 퍼져 나간다, 도이칠란트가 전 세계의 앞장에 선다!”는 전망이었다. 동시에 그들의 애국심은 이전과는 다른 성격이 되었다. 이 시기 도이치 사람들을 고무한 ‘민족주의’는 이제 스스로 아주 특별한 존재, 미래의 강대국이라는 느낌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의식이었다.
_90쪽(황제 시대)


독일 제국은 민족주의를 동력 삼아 파멸을 향해 치닫는다. 승전보만 들려오던 1차 대전에서 패하자 대중들 사이에는 어처구니없는 낭설이 퍼진다. 즉 1차 대전 패배는 전방에서의 군사적인 패배가 아니라 후방에서 평화주의 캠페인을 통해 군의 사기를 떨어뜨려서 나온 것이라는 전설, 이른바 ‘배후에서 단도 휘두르기’ 전설이 창궐한 것이다. 이 낭설을 철석같이 믿었던 인물 중에는 아돌프 히틀러도 있었다. 히틀러는 1차 대전 패전과 그로 인한 독일 혁명과 바이마르 공화국의 출범이라는 혼란 속에서, 정치가가 되기로 결심한다.

도이치 제국의 역사가 그렇게 흘러갔다는 것, 그 마지막 가장 성큼성큼 걷던 시대에 오스트리아 사람이[=히틀러] 총리로 재임했다는 것, 이 마지막 제국총리가 비스마르크의 작은 도이칠란트를 곧바로 큰 도이칠란트로 만들고, 이 큰 도이칠란트는 곧바로 비스마르크가 철저히 반대한 공격적인 확장 정책을 추진했다는 것, 그리고 이 모든 것이 비스마르크의 작은 도이칠란트에서는 한 번도, 심지어 1870년에도 맛보지 못한 열광적인 분위기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잘 생각해본다면―거의 이렇게 말하고 싶어진다. 비스마르크의 최고 승리가 자신의 실패의 뿌리를 포함하고 있었다고, 도이치 제국의 건설은 이미 그 붕괴의 씨앗을 포함하고 있었다고 말이다.
_50쪽(도이치 제국의 성립)

이처럼 독일 제국은 처음부터 파멸의 맹아를 품고 있었지만, 씨앗에 물을 주고 영양을 공급한 것은 사람이다. 이 책에서 하프너는 독일 민족이 몰락의 길을 걷는 동안, 사람들이 각자 제 위치에서 어떻게 잘못 움직였는지 냉철한 시각으로 바라본다. 독일인들은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모두 다 끊임없이 오판했다. 민족의 생존을 위해 주변 강대국의 동맹을 찢어놓으려고 분투했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고립되었다. 군 지휘부는 전쟁의 결정적인 국면마다 전략을 잘못 잡았다. 한편 국민들은 양차 대전의 패색을 너무 늦게 알아차렸고, 히틀러를 민족의 구원자로 오인하는 결정적인 실수를 저질렀다.

독일인들의 실책을 서술하는 하프너의 시선은 냉철하다 못해 냉소적이다. 예컨대 1차 대전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하프너는 이렇게 평가한다. “도이치 전함들은 전쟁의 원인에는 아주 많이 기여했건만, 실제 전쟁에서는 거의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배들은 항구에 정박해 있다가 이따금씩만 북해로 진출해서, 고작 영국인들을 화나게 하는 정도였다. (……) 이 ‘무제한’ 잠수함 전쟁은, 단순히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영국과 프랑스를 매우 강력하게 만들어서 도이치 제국의 모든 승리의 전망을, 심지어는 탈진해서 나오는 평화조약에 대한 전망조차도 사라지게 만들었다. 바로 미국의 참전을 불러들인 것이다.”(본문 123~124쪽)

사민당을 비롯한 좌파와 자유자의자들도 비판의 화살을 피해 가지는 못한다. 예컨대 사민당은 장기간 최대 정당이었으나 결정적인 순간에 늘 주저하고 후퇴하고 무용한 복마전에 걸려들고 간계를 꾸민다. 예컨대 사민당 당수 프리드리히 에버트는 악명 높은 국방장관 노스케와 손을 잡고 사회주의 혁명을 유혈 진압한다. 1차 대전 전쟁배상금을 탕감받기 위해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을 의도적으로 방치한 결과, 1달러가 무려 4.2조 마르크로 치솟고 실질적으로 돈이 사라지는 상황을 빚음으로써 히틀러의 대두를 부추긴 것 역시, 좌파와 중도파가 이끈 내각에서 벌어진 일이다.
물론 독일 제국에게 치명타를 날린 것은 히틀러다. 히틀러는 망상에 사로잡혀서 끊임없이 수렁 속으로 빠져들다가 마침내는 민족 전체의 몰락을 기도하는 지경에 이른다.

전쟁 마지막에 실제로 히틀러는 동료들이 경악하는 가운데, 군사적 패배를 도이치 민족 전체의 몰락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했다. 1945년 3월 18일과 19일에 나온 저 유명한 ‘네로 명령’이 그것인데, 여기서 히틀러는 제국에 아직 남아 있는 모든 자원을 주민의 생존에 꼭 필요한 것까지, 적의 손에 떨어지기 전에 모조리 파괴하라고 지시했다. 당시 군비 장관이던 슈페어(Albert Speer)가 이 명령을 상당히 성공적으로 가로막았다. 하지만 히틀러의 사고에서 이 명령은 극히 특징적인 것이다. 그는 분명 자기가 가장 위대한 승리의 제공자가 아니라면, 적어도 도이칠란트에 파괴의 제공자라도 되겠노라 생각했으니 말이다.
_287쪽(제2차 세계대전)

2차 대전 패전 후의 상황은 익히 알려진 대로다. 하프너는 이를 다음과 같이 간결하게 정리한다.

제국은 이 적들에 부딪쳐 부서졌고, 적들 사이에서 둘로 나뉘었다. 하지만 제국이 분할되자마자 마치 마법처럼 적들은 적이기를 중단했다. 1949년부터 옛날 비스마르크 제국 자리에 두 개의 도이칠란트가 나타났는데, 그러면서 연방공화국[=서독, BRD]은 서방에 적이 없고, 민주공화국[=동독, DDR]은 동방에 적이 없어졌다.
_20쪽(들어가는 말)

이처럼 이 책은 세 번의 전쟁으로 성립되어 양차 세계대전으로 파멸하기까지, 독일 제국이 어떻게 그토록 처절한 자멸의 길을 걷게 되었는지 조감하고 분석한다. 노년에 이르러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가까스로 완성한 이 노작에서도 하프너는 촌철살인의 일격을 날리고 전성기 못잖은 혈기를 내뿜는다. 거대하고 복잡한 역사적 상황에서 핵심적인 구조를 찾아내 관찰하고 분석한 뒤 단칼에 베어내듯 명료하게 서술하는 스타일도 변함없다.
비스마르크에서 히틀러에 이르는 독일의 근현대사는 몹시 파란만장하고 복잡하다. 시간적·공간적 거리로 인해 우리에겐 더욱더 이해하기 어려운 질곡의 독일 역사를 이 책을 통해 압축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제바스티안 하프너 지음 | 안인희 옮김 | 돌베개 | 320쪽 | 15,000원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