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전날 정진석 원내대표가 동조단식에 나서고 정세균 국회의장을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형사고발하는 등 대응 수위를 한층 더 끌어올렸다.
물론 김무성, 유승민, 나경원 등 비박계 의원 23명이 국감 복귀를 촉구하며 집단행동에 나선 것은 향후 변수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움직임은 당 지도부와 주류 친박계의 강경 기류에 눌려 아직은 제한된 수준에 머물러있다.
친박계는 적전분열 행위를 경고하는 한편, 정세균 의장이란 외부 표적에 당내 불만을 집중시키고 있다.
조원진 최고위원은 정 의장의 선거법 위반 등 개인비리 의혹을 제기했고,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정 의장이 최근 미국 방문시 ‘정세균 시계’를 배포했다는 폭로성 발언을 추가했다.
이에 정 의장 측은 "명백한 허위사실" 또는 "이전부터의 관행"이라고 해명하며 강력한 법적 대응 방침을 밝혔다.
새누리당의 '정세균 때리기'가 입법부 수장에 대한 흑색비방전으로 비화되며 금도를 넘어서는 양상이다.
이처럼 양측의 대치는 감정싸움으로까지 격화되며 출로 찾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2일 현 상황을 비상시국으로 규정하고 "난무하는 비방과 확인되지 않은 폭로성 발언들은 우리 사회를 뒤흔들고 혼란을 가중"시킬 것이라며 국론단합을 촉구한 것이 무색해지는 상황이다.
정국 경색의 책임은 여야 모두에 있지만 집권여당에 훨씬 더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
새누리당은 대통령의 국론단합 발언 하루 뒤인 23일 김재수 장관 해임안 처리를 필두로 국회 파행을 자초했다.
당초 김재수 장관 해임안은 새누리당에 결코 불리한 이슈가 아니었다. 정상적인 대응을 통해서도 해임안의 문제점을 충분히 부각시킬 수 있었고, 무엇보다 국민의당을 야당공조에서 떼어낼 가능성이 컸지만 스스로 기회를 차버렸다.
설령 해임안이 가결되더라도 '거대 야당의 횡포'로 야당을 몰아붙여 반사이득을 취할 수 있었다. 하지만 희화화된 '필리밥스터'로 여론과 멀어지더니 집권당의 '국회 파업'이란 초유의 상황을 만들어버렸다.
이정현 대표의 경우는 정 원내대표와 함께 마치 청와대에 대한 '충성경쟁'이라도 하듯 돌연 무기한 단식을 선언하며 사태를 더욱 꼬이게 했고, 이후 돌발적인 원내 복귀 주문으로 오락가락했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해임건의안 문제를 이렇게 키운 것은 새누리당의 과잉대응에 있다"며 "강경책으로 문제를 더욱 키웠고 야당에 비판적이던 사람들도 돌려세우게 했다"고 말했다.
언필칭 비상시국에 무엇이 중한지 모르는 집권당의 행태가 또 다른 위기 요인으로 인식되는 그야말로 위기 상황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