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소리 방송에 따르면 대니얼 프리드 미 국무부 제재담당 조정관은 28일 미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 소위 청문회에 참석해 "추가적으로 중국 기업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리드 미 국무부 제재담당 조정관은 "국가나 기업을 제재하는 데 있어 제한사항이나, 행정부 차원의 한계는 없다"면서 "증거에 따라 움직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정부가 추가적으로 중국 기업을 조사하고 있다고 생각해도 되느냐"는 코리 가드너 상원의원의 질문에 "반박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미 재무부는 지난 26일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지원한 중국 기업 '단둥훙샹실업발전'과 모기업인 훙샹그룹의 창업자 등 관계자 4명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프리드 조정관은 중국 기업에 대한 이같은 제재를 "중대하고, 실질적인 움직임"이라고 평가하면서, "미국 정부가 진지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제재를 계기로 중국 정부 스스로가 북한과 거래하는 자국 기업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중국 기업 스스로도 위험성을 인지해 내부에서 변화가 생기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러셀 차관보는 "비록 이러한 중국의 변화가 행동에만 국한될 뿐, 대북 입장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뜻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특히 "바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과 만나 중국 정부에 제재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조치를 요청하면서, 국경과 중국 내 은행에 대한 단속과 고려항공 등 운송수단 차단, 해커가 중국 서버와 영토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 등을 언급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엔 안보리가 논의 중인 새 대북 제재 결의안에 민생목적에 한해 허용했던 석탄 수출을 전면 차단하는 방안을 중국과 논의하고, 제재 이행을 단속하기 위해 양국 사법기관의 협력 강화를 추진하는 노력 또한 기울이는 건 이런 이유"라고 말했다.
이날 두 국무부 관리는 북한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해외 노동자 문제를 겨냥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러셀 차관보는 "북한 노동자들을 받아들이는 나라들과 기업들을 설득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일부 성공 사례도 있었다"고 증언했다.
프리드 조정관은 많은 나라들이 북한의 해외 노동자 문제를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고, 이 때문에 미국 정부가 이 문제에 잘 대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국무부와 재무부 당국자들이 여러 나라 정부에 협조 요청을 하고 있고, 북한 해외 노동자가 많이 파견돼 있는 중국과 러시아 정부도 설득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