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년 전 민간이 설립해 운영 중인 부산 남구의 A 도서관.
회원제 도서대출 외에도 지역 주민과 청소년들에게 열람실을 제공하는 등 지역의 공공 도서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하지만 이달 초 학교별 여름방학이 시작되며 청소년이 도서관을 많이 찾는 시기에 오히려 도서관 문은 굳게 닫혀 있었다.
알고 보니 한여름에 에어컨을 켰다가 전기세 폭탄을 맞을까 두려워 어쩔 수 없이 2주 동안 문을 닫은 것이었다.
이처럼 일부 도서관이 여름철이면 수십만 원의 전기요금이 내야 하자 이를 견디지 못하고 휴관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작은도서관은 교육시설로 분류돼 교육기관용 전기를 공급받고 있는데, 교육기관용 전기는 가장 높은 요금이 부과된 기간을 기준으로 다음 해 기본요금, 즉 단가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일부 소규모 도서관에서는 비용을 아끼기 위해 공급받은 교육용 전기세가 오히려 요금 폭탄의 빌미가 되고 있다.
특히 유례없는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올해에는 2주간의 휴관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전기요금 폭탄이 예고된 상황이다.
게다가 A도서관처럼 종교나 복지단체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도서관의 경우 아무런 외부 지원이 없기 때문에 운영난은 피하기 어렵다고 호소했다.
도서관 관계자는 "에어컨을 틀어야 하는 여름철에는 전기세가 수십만 원까지 치솟아 이를 감당할 수가 없다"라며 "국공립이나 종교·복지 단체가 운영하는 도서관의 경우 일부 안정적인 지원이 있지만, 자체 재원으로 도서관을 운영해야 하는 민간 작은 도서관의 경우 전기세는 물론 운영상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작은 도서관을 관리하는 부산 남구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 문제를 들어 별다른 지원 방안조차 마련하지 않고 있다.
특정 도서관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직접적인 도움 요청이 없었고 일부 도서관만 지원할 경우 형평성에 문제가 생긴다는 이유였다.
부산 남구의 한 관계자는 "민간인이 단독으로 운영하는 일부 도서관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직접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사례는 없었다"라며 "특정 도서관을 지원할 경우 지역 내 수십 개의 도서관을 모두 도와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운영비 등을 지원할 계획은 없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지역의 공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작은 도서관의 운영난에도 행정 기관은 뒷짐만 지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도서관의 고민은 더욱 깊어가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