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까지 더민주 내 계파 구분에서 '친노'와 '친문'은 큰 차이없이 함께 쓰이던 말이었지만, 지난 4·13 총선을 거치면서 점차 간극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친문계는 다수 공천을 받거나 경선 대상에 올랐다. 또 '문재인표' 영입인사들이 유입되면서 친문계가 강화됐다.
당시 문재인 전 대표는 인재영입위원장을 맡아 총선 무대에 등판할 새로운 인재들을 직접 영입했다. 각계 전문인사 중심으로 구성된 이 인사들은 '문재인 영입인사 ○호'로 불리며 '신(新) 친문'으로 분류됐다.
더민주의 한 친노계 인사는 "이번 총선을 치르면서 기존 친노 내의 친문에 새로운 영입인재들이 수혈되면서 친문계가 강화됐다"면서 "기존 친노와는 색깔이 다른 '순수 친문'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부터 과거 한 묶음으로 엮였던 '친노'와 '친문'의 분화가 본격화됐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신친문' 의원들 스스로도 자신을 단순히 '친노'로 분류하는 구분법에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기도 한다.
문 전 대표가 영입한 한 초선 의원은 "난 친노는 아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는 연관이 없으니까...."라며 기존 구분법을 부인했다.
김종인 대표 체제에서 총선 준비 기간부터 총선 이후까지 꾸준히 '계파갈등'을 낡은 것으로 규정하고 쇄신을 부르짖으면서, 이들 의원들 스스로 '친노'로 분류되는 것을 꺼리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한 더민주 관계자는 "'친노'라는 개념이 '기득권을 지키려는 당 주류'라는 부정적인 이미지와 겹쳐지면서, 이 프레임에서 벗어나고 싶은 사람들이 자신은 친노가 아니라고 부인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안 지사가 대선주자로 부상해 또다른 축을 형성하면서, 친노 내부에서도 자연스럽게 분열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친안 그룹으로는 김종민·정재호·조승래 의원이 꼽힌다. 한 충청권 의원은 "안희정 지사와 친분이 있으니 굳이 내 계파를 분류하자면 친노가 아닌 친안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번 전당대회를 앞두고도 친노의 분화가 엿보인다.
일례로 참여정부 시절 이호철 전 민정수석이 당권에 도전하는 송영길 후보를 돕고, 친노로 분류되는 전해철 의원은 추미애 의원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친노계 '3철'로 불리는 핵심인사다.
또다른 더민주 관계자는 "모든 당권 주자들이 친노 혹은 친문계에 러브콜을 보내는 상황에서 (계파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누구든 크게 상관은 없을 것"이라면서 "똘똘 뭉쳐 친노 대 비노로 갈리던 구도가 흔들린 것은 주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