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홍만표 맡았던 '도나도나 사건' 변론

(사진=자료사진)
우병우(49) 청와대 민정수석이 법조 비리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홍만표 변호사에 이어 투자사기 혐의가 있던 '도나도나 사건'의 변론을 맡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우 수석은 검찰에 선임계를 낸 것으로 확인됐지만 1억원의 수임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처가의 부동산 거래 등 갖가지 의혹이 불거진 상황에서 우 수석이 소득을 제대로 신고했는지, 전관으로서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는 없었는지에 대한 수사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당시 서울중앙지검 형사4부장으로 도나도나 사건을 맡았던 윤장석 전 법무부 정책기획단장은 올해 2월부터 청와대 민정비서관으로 옮겨 우 수석 밑에서 일하고 있다.

도나도나 대표 최모씨는 어미 돼지 1마리당 500만~600만 원을 투자하면 새끼 돼지를 20마리 낳아 수익을 낼 수 있다며 투자자들로부터 2400억 원을 끌어모은 혐의 등으로 2013년 11월 기소됐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우 수석은 그해 7월 도나도나 대표 최씨 사건에 대한 선임계를 검찰에 제출하고 변론을 맡았다. 검사장 승진에서 탈락한 뒤 석 달 전 사표를 내고 변호사로 개업한 상태였다.

최 대표가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 따르면, 우 수석은 수임료로 1억여원을 받았다고 한다.

우 수석이 사건을 맡게 된 건 홍 변호사가 사임계를 낸 뒤 최 대표가 우 수석을 찾아가면서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 변호사는 2011년부터 2013년 초까지 도나도나 관련 사건 4건을 맡아 모두 4억75900만원을 받았다는 것이 지난달 홍 변호사를 수사한 검찰의 발표다.

검찰은 당시 도나도나 대표 최씨를 불러 홍 변호사의 변호사법 위반 혐의 등을 조사했지만 혐의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홍 변호사 사건 수사 당시에는 우 수석을 비롯해 다른 전관 변호사들이 사건을 수임했는지 여부를 몰랐다는 게 검찰 관계자의 설명이다.

홍 변호사가 사임한 뒤 도나도나 사건은 김영한 전 민정수석과 우 수석, 법무연수원장직에서 퇴직한 노환균 전 서울중앙지검장 등 거물급 전관변호사들이 맡아왔다.

도나도나 대표 최씨는 지난해 8월 항소심에서 유사수신 혐의 등은 1심과 같이 무죄가 인정됐고, 거짓 문건으로 대출을 받은 일부 혐의 등만 인정돼 징역 2년 6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