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을 기술적 측면으로만 본다면 과학은 사고방식이 될 수 없으며, 인문학과 함께 갈 수 없다. 과학 기술에 실제 세상에 적용될 때, 종종 인문학이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 방법으로서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정치, 사회, 문화가 갖는 문제에 과학이 해결 방법으로 관여할 수 있어야 한다. 과학과 인문학을 같은 출발선 위에 둘 때, 과학과 인문학이 함께할 수 있는 것이다.
과학적 영감에서 철학적 통찰을 이끌어내고, 과학에서 삶의 해답을 찾는 것. 우리가 사는 세상과 맞닿아 있는 과학을 가까이하는 것. 과학과 인문학이 소통하는 것. 이것이 앞으로의 인문학이자, 과학을 포함한 진정한 인문학이 될 것이다.
‘이해한다’는 것은 우리가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에 새로운 지식이 합류하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상대성이론이나 양자역학과 같은 일반 상식에서 어긋나는 과학은 일반인들에게 이해하기 힘든 존재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인간의 상상과 감정, 무지(無智)는 세상을 똑바로 보는 것을 방해한다.
'김상욱의 과학공부' 제1장 “과학으로 낯설게 하기”에서는 세상을 낯설게 보고 다르게 보는 방법을 훈련하며 과학적 사고방식으로 첫걸음을 내딛는다.
제2장 “대한민국 방정식”에서는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신화와 공포를 파헤친다. 앞서 말했듯이 ‘비과학적인 것’은 ‘비인간적인 것’이다. 과학이 이런 비인간적인 사실들에 눈감는다면 과학은 더 이상 철학이 아니다. 우리는 ‘어둠’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어 둠은 빛의 부재(不在)일 뿐이다. 빛의 부재가 어둠이라는 실재(實在)가 되듯이, 사회를 향해 침묵하고 의로운 행위를 하지 않는 것도 불의(不義)라는 실재가 되어 돌아다니게 된다.
그렇다면 과학자는 과학적 사고방식을 통해 어떻게 세상을 보는가? 제3장 “나는 과학자다”는 과학자가 정치나 권력, 경제로부터의 유혹을 내던지며 던지는 선언이다. 끊임없이 “나는 과학자인가?” 하고 물으며 비과학적인 논리에 빠지지 않도록 스스로를 경계하는 모습은 신념을 가진 철학자와도 같다.
물리학은 인문학의 질문에 어떻게 답할까? 인간의, 인간에 대한, 인간을 위한 탐구로서 과학은 언제나 인문학과 접점을 가지고 있었다. 제4장 “물리의 인문학”에서 물리학자 김상욱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인류의 본질적 질문에 ‘우주’로 답한다. 우주의 모든 운동을 설명하는 뉴턴의 운동방정식(F=ma)은 단 네 개의 글자로 이루어진 우주의 시(詩)이다. 우주는 먼 과거나 먼 미래를 내다보지 않고, 자신의 바로 앞에 놓인 관계만을 생각하며 법칙에 따라 나아간다. 그러면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사람도 눈앞의 일을 향해 정확히 한 걸음을 내디딜 때 우주의 법칙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쉬운 글로 과학을 쓰는 것이야말로 인문학의 토대이다.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벽을 허물어주기 때문이다. 김상욱 교수는 ‘양자역학을 가장 쉽게 설명하는 사람’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의 이전 저작들을 보면, 자칫 어려워질 수 있는 과학적 지식을 매우 간결하고 정돈된 글로 풀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리처드 파인먼조차 “완벽히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라고 말한 양자역학을 쉽게 풀어쓰듯이 세상 물정을 명확한 시선으로 해부한다.
이렇게 그가 오롯이 과학자의 눈으로, 과학을 토대로 쓴 글 속에 철학이 있고 인문학이 있다.
책 속으로
인간은 완벽하게 합리적이지 않다. 더구나 인간은 존재하지도 않는 상상을 믿는다. 우리가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대부분의 것들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상상이다. 인공지능이 존재하는 세상의 모습을 바꿀 수 있을지라도 존재하지 않는 상상을 바꿀 수는 없다.
인간이 생각하는 중요한 가치는 그 자체로 상상이기에 우리의 상상으로 지켜내야 한다. 인간의 행복이라는 비과학적 대상에 대한 인문학적 고민이 없다면 인간은 불행해질 거다. 과학뿐 아니라 인문학적 상상력이 필요한 시대이다.
/ 229-230쪽
알파 센타우리에서 온 빛은 대략 4년 전에 출발한 것이다. 즉, 지금 우리가 보는 그 모습은 4년 전의 모습이라는 말이다. 사실 알파 센타우리가 지금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이유로 알파 센타우리가 폭발하여 사라졌더라도 우리가 그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은 4년이 지나서이다. 지금 우리가 보는 별들은 과거의 모습이란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가만히 앉아서 하늘을 보는 것만으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 이처럼 하늘을 보는 것은 공간과 시간을 모두 보는 것이다. 사실 땅을 파보아도 시간여행을 하기는 마찬가지이다. 지층을 가로질러 과거로의 여행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공간은 시간이다.
/276-277쪽
우주는 먼 과거나 먼 미래를 알 필요 없이 자신의 바로 앞에 놓인 관계만을 생각하며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간다. 우주는 심지어 앞과 뒤도 구분하지 않는다. 단지 자신과 시간적으로 인접한 두 지점의 관계만을 생각한다. 인접한 두 지점은 나와 다르지만 무한히 가까운 장소이다. 우주는 그냥 성실히, 아니, 어찌 보면 바보같이 이웃과의 관계만을 생각할 뿐이지만, 그 결과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만들어간다.
사람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나와 맞닿은 사람들의 관계를 하나씩 확인하고 공고히 해나갈 때, 먼 미래나 과거가 아니라 바로 앞의 일을 향해 법칙을 따르듯 가야 할 곳으로 정확히 한 걸음을 내디딜 때 우리는 우주의 방식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 294쪽
김상욱 지음/동아시아/336쪽/1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