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대 탄생, 꼭 한국서 기념하고픈 日…박수치는 韓

(사진=자료사진)
일본 자위대는 한반도에서 그 기틀을 마련했다.

2차 대전에서 패전한 뒤 이듬해 미국에 의해 무장 금지가 강요됐지만,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또다시 미국의 필요에 의해 군(軍)의 모태가 형성된 것이다.

남북간 전쟁이 시작되자 미국은 일본에 주둔하던 미군 병력 대부분을 급히 한반도로 이동시켰고, 안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일본 내 경찰력 강화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설치된 것이 기본적인 무장조직인 '경찰예비대'.

그로부터 4년이 지난 1954년 육·해·공군을 갖춘 자위대가 정식 창설됐지만 그에 앞서 일본이 이미 실질적인 전쟁 행위에 관여했다는 것이 최근 각종 문서를 통해 드러나기도 했다.

◇ 재(再)무장 재(再)참전, 모두 한반도서 얻은 기회

이와 관련해 백선엽 전 육군참모총장은 지난 2004년 '문예춘추' 기고에서 "일본은 한국전쟁에 구 해군이 갖고 있던 소해정과 요원을 미군이 고용한 형태로 파견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한국전쟁에 참가한 연합군은 16개국으로 돼있지만 나는 전투를 하면서 일본이 실질적으로 17번째 참전국이라고 감지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일본의 오가 료헤이(大賀良平) 전 해상자위대 막료장 역시 같은해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1950년 개전 직후 일본의 소해대(掃海隊)가 편성됐는데 6척의 소해정을 이끌고 미군 해군과 함께 한국 서해에 파견돼 2개월 가까이 작전에 참가했다"고 말했다.

군대가 사라진 뒤 다시 무력을 갖출 수 있던 계기, 그리고 그 무력을 실질적으로 휘두를 기회 모두를 자신들의 식민지였던 한반도에서 찾은 셈이다.


이후 잘 알려진 대로 자위대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력에 이르게 된다.

사실상 사문화된 일본 평화헌법 내 '전쟁 방기(放棄) 조항'을 아예 없애려는 노력도 최근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이 자신과 밀접한 나라가 공격받을 때 자신이 공격당한 것으로 간주해 반격에 나설 수 있다는 '집단적 자위권' 개념을 세운 데 이어, 그 범위도 확장한 '안보법'이 올해 초 시행됐다.

◇ 자위대, 'since 1954' 아닌 'since 1950'인 이유

여기에 오는 10일 열리는 일본 참의원 선거에서 아베 정권이 승리할 경우, 일본은 평화헌법 개정에 본격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짙게 나온다.

이를 상징하듯 지난달엔 육상자위대의 엠블럼까지 교체했다.

사람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일본 열도가 두 손으로 보호되는 상징을 없애고, 일장기 아래 길다란 일본도가 새겨진 상징으로 바꿔놓은 것이다.

그 일본도에 둘러진 붉은 매듭엔 'since 1950'이라고 적혀있는데, 이는 자위대가 창설된 해가 아니라 한국전쟁 '덕분에' 무력을 갖춘 바로 그 해를 뜻한다.

그로부터 66년이 지나 재무장의 기치를 올린 가운데, 오는 12일 한국에서 치러지는 자위대 창설 기념행사가 일본 입장에서 더욱 뜻깊을 수밖에 없다.

일본이 최근 이태 동안 여론을 의식해 대사관 안에서 축소된 행사를 진행하고도, 올해는 굳이 서울 한복판의 호텔에서 성대한 행사를 치르겠다고 고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식민지배의 아픔을 기억하는 한국인들이 일본의 재무장을 축하하는 모습은 여전히 아이러니다.

그럼에도 우리 군(軍)을 비롯한 각계 인사들이 이번 행사에 초청을 받아 참가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