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철환 성균관대 교수의 말이다. 프랑스의 사례를 통해 한국 영화계의 현재를 돌아보고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해 보는 포럼이 열렸다.
노 교수는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CGV에서 열린 '2016 중반기 CGV 영화산업 미디어 포럼'에서 '프랑스 사례로 본 영화관 위기 극복'이라는 제목의 발제를 했다.
독과점·쏠림·빈부 격차 현상이 심한 한국 영화계에게는 롤 모델처럼 주목받는 곳이기도 하다.
프랑스는 연간 관객 수가 2억 명으로 한국과 비슷하다. 오히려 최근 3년은 한국이 근소하게 앞선다. 그런데 프랑스와 한국에 대한 평가는 왜 극과 극일까.
노 교수가 밝히 사례 중 인상적인 프랑스 영화계의 특징을 크게 3가지로 요약해 봤다. 바로 지원, 교육, 할인이다.
◇ 지원
우선 지원금 규모가 차이가 난다. 노 교수에 따르면, 한국은 국가에서 영화에 지원하는 금액이 약 540억 원이다. 프랑스는 9배 정도 많은 4489억 원(3억 325만 유로)이다.
특이한 점은 영화나 비디오(혹은 IPTV 등)뿐만 아니라 TV로부터 지원금을 받는다는 점인데, 이 비율이 약 77%이다.
노 교수는 "TV에서 영화 콘텐츠를 활용해 돈을 벌기 때문에 당연히 TV도 영화 지원금을 내야 한다는 게 프랑스 정부의 논리이다"고 설명했다.
그렇게 모인 지원금은 ▲제작과 창작(약 40%) ▲배급(약 10%) ▲상영(약 46%) ▲영화보급(약 1%) 등 영화계 다양한 주체들이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골고루 분배된다.
반면 한국의 2015년 영화발전기금 지출 내역을 살펴보면,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 지방 이전 이전비(242억, 31%) ▲제작지원(130억, 16%) ▲투자/출자(100억, 13%) ▲유통지원(95억, 12%) ▲영화제지원(44억, 6%) ▲인적자원(51억, 6%) ▲첨단기술(37억, 5%) 등이다.
노 교수는 "영진위가 부산으로 이전하는 데 영화발전기금의 30% 가까이를 쓴 것은 개인적으로 아쉬운 부분이다"고 꼬집었다.
두 번째 특징은 교육이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영화에 대해 학생들에게 교육한다.
노 교수에 따르면, 교사들이 가르칠 영화는 영화인·문화단체 등 20명 내회로 구성된 '추천 영화 위원회'가 한다.
위원회에서 추천 영화 80편(장단편) 내외를 선정하면, 국가에서 교재를 만들고 교사들을 연수시키며 사전 교육을 한다.
그렇게 교육받은 교사들이 연령대별 학생들에게 영화를 소개하고, 그 의미나 재미있는 해석 등을 교육한다. 지자체나, 지역 영화인이 직접 교육을 하기도 한다.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단체 관람을 할 경우 일반 관람료의 1/4 수준이라 부담도 없고, 이들이 성인이 돼서 영화를 꾸준히 관람하는 잠재적 고객이 되는 것이다.
또 다른 특이점으로는 "영화는 극장에서 봐야 제일 좋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교육 때문에라도 학교에서 영화를 TV로 틀어주는 일은 절대 없다고 노 교수는 설명했다.
◇ 할인
이날 발표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바로 '무제한 관람 카드'였다.
프랑스에서 영화계 불황을 타파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1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연회원으로 가입을 하면, 가입한 체인에서 영화를 무제한으로 관람할 수 있다.
월 17.9~36.8유로(2.3~4.7만 원) 가격이다. 36.8유로의 무제한 카드는 혼자가 아닌 두 사람이 동시에 관람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카드로 3D 등의 영화도 관람할 수 있어, 실제 같은 편 수 대비로 계산하면 약 40~50% 가격에 보는 것이라고 한다.
이 카드가 생긴 이후 약 1억 5000만 명 수준이던 연간 관객 숫자가 2001년부터 2억 명대에 근접하더니, 2009년부터 2억 명을 돌파하는 급성장을 했다.
노 교수는 "'무제한 관람 카드'로 시간이 많은 젊은 관객이 증가했고, 공짜라는 생각에 부가 상품 구입이 증가하는 효과도 발생했다"며 "팝콘, 젤리, 커피, 사탕, 아이스크림 등 판매가 늘어 극장 수입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영화를 많이 보는 사람들이 생기면서, 두터운 영화광층이 형성되고, 입소문이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가 발생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런 효과는 단순히 카드만 만들어서 된 게 아니라, 극장의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노 교수는 "카드는 극장이 기획했지만, 다양한 영화 주체가 오랜 기간 회의 끝에 국가가 지원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고, 이어 국가에서도 이를 인정해, 1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가동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