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여소야대에선 대통령과 청와대가 마음먹은 대로 다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협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당청관계와 여야관계 모두에서 '소통'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해석된다.
정 원내대표는 "지금까지 살면서 가장 힘든 1달이었다"며 소회를 털어놨다. 지난달 원외 인사 신분에서 원내대표에 당선된 이유를 설명하며 자신을 '계파 정치에서 자유로운 정치인'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당청 관계에 대한 질문을 받자,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 간의 불화설(說)과 국회의장을 집권 여당이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청와대의 지시 아니냐는 각각의 상반된 의혹을 다 부인했다.
이어 "청와대와 당이 여러 정책사안 협의하는 건 온당한 것"이라면서도 "재량권을 갖고 하겠다, 과거처럼 일방통행식 '청 오더(order·청와대 지시)'를 그대로 이행하는 당 운영을 안 하겠다"고 공언했다.
전날 구성된 비대위원 인선에서 김세연, 이혜훈 의원 등 유승민계가 제외됐다는 지적에는 "비대위원 인선은 전적으로 비대위원장의 영역. 김희옥 위원장이 한 인선"이라고 선을 그었다.
당내 계파 갈등에 대해선 "친박 대 비박의 구도는 소멸 단계로 가고 있다"며 "내년 당의 대통령 후보가 가시화하면 계파 구분은 소멸되고 정리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원내대표와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원(院) 구성 협상과정에서 야권에 느낀 서움함에 대해서도 피력했다.
김 수석부대표는 지난 2002년 당시 여당이면서 제2당이었던 새천년민주당의 이만섭 국회의장 사례를 언급하며 새누리당이 국회의장을 맡아야 한다는 논리를 재확인했다.
정 원내대표도 전날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가 국회의장직을 하는 대신 법제사법위원장을 양보하겠다고 한 데 대해 "법사위원장 내주겠다는 것을 '통 큰 양보'라고 하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느냐”며 비판했다.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을 같은 당이 맡지 않는 것이 오랜 관행인데, 이를 시혜인 것처럼 말하며 운영위원회, 정무위원회, 기재위원회 등 주요 상임위원장 자리를 요구하는 야권에 대한 서운함을 드러낸 것이다.
야권이 요구하고 있는 세월호 특별법 개정과 조사위원회 기간 연장의 건에 대해선 "세월호 특별조사가 상당 부분 이뤄졌고, 특별히 기한 연장해야할 만큼 남은 과제 있다는데 많은 국민 동의할까 반문해 보고 싶다"며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여권 내 갈등 사안인 영남권 신공항 부지 선정 문제와 관련해선 "정치적 개입이 있어선 안 된다"며 "객관적인 용역 결과를 토대로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고 했다.
탈당한 무소속 의원의 복당 문제에 대해서는 "오늘 비대위 회의에서 거론되지 않았다"며 "총선 민의를 새기고 받드는 차원에서 다뤄져야 할 문제"라며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