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전남 무안공항에서 티웨이 항공기가 이륙하기 직전 활주로와 연결된 유도로에 설치된 등(燈) 120개가 일제히 꺼져버린 장애의 원인은 전원공급 장치인 '정전류 조정기' 이상이었다.(관련 기사 6.2. CBS노컷뉴스='전국 공항이 깜깜!' 항공기 이·착륙 비상)
해당 장치는 국내 A 업체의 제품으로 국가표준인 KS인증을 받았다.
문제는 A 업체 유도로등의 KS시험을 실시한 B 연구기관이 무안공항의 장애 원인인 '정전류 조정기'를 시험할 수 있는 검사기관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런데도 해당 연구기관의 KS시험성적서에는 정전류 조정기를 테스트한 것으로 나와 있고, 합격이라는 결과가 표기돼 있다.
지난 3월과 4월 김해공항에서 정전 장애를 일으킨 매립 형태의 유도로등도 A 업체가 만든 제품으로 똑같은 연구기관에서 KS시험이 이뤄졌다.
비행장에 매립된 항공등화는 하루에도 수백 차례나 수십t 무게의 항공기가 밟고 지나가기 때문에 객관적인 하중시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대해 B 연구기관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하중시험을 시행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있지 않아, A 업체 공장에 직접 가서 업체 장비로 시험했다"며 "산업표준화법 시행령에서 검사장비를 갖춘 공인검사기관이 없을 경우, 제품제조공장에서 품질을 시험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 될 게 없다"고 밝혔다.
A 업체도 "국가에서 정한 KS인증 절차에 따라 KS마크를 획득했다"는 입장이다.
경쟁업체에서는 이를 두고 반발하고 나섰다.
항공등화 수입업체 한 관계자는 "지금의 KS인증은 마치 학생이 자신이 푼 문제지를 자기가 직접 매기는 셀프 인증이나 마찬가지"라며 "이런 시험과정으로 인증된 KS제품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항의 전반적인 사항을 지도·감독하고 인허가를 내주는 항공청에서도 최근 항공등화 장애가 잇따라 발생하자, A업체 제품의 KS인증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부산지방항공청 소속 한 공무원은 "시험자격도 장비도 갖추지 않은 기관에서 검증한 제품을 어떻게 신뢰하고 공항에 설치할 수 있도록 허가를 할 수 있겠냐"며 "A 업체 제품의 KS시험성적서를 보면 문제점이 한두가지가 아니여서 KS가 부정발급 된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이처럼 'KS셀프 인증' 논란이 불거지고 있지만, 한국공항공사는 올해도 십수억 원을 들여 노후화된 항공등화를 문제의 A업체 제품으로 교체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