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군사 쪽은 몰라…북미간 협상가 역할 가능할 수도" 주장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모인 고용숙과 그의 남편 리강은 자신들이 북한의 국방 관련 분야에 대해서 아는 게 없다면서도, 자신들이 북한과 미국을 이해하기 때문에 북·미 양자 간 협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고용숙·리강 부부는 27일(현지시간)자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그들(미국 정보당국)은 우리가 어떤 (북한 정권의) 비밀 같은 것을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우리는 아는 게 없었다"고 밝혔다.
리 씨는 "물론 (김정은 위원장의 유년기) 사생활에 대해서는 많은 걸 봤지만, 국방 쪽과 관련된 일은 아는 게 없었다"며 "핵무기나 군사 분야와 관련해서는 하나도 모른다"고 털어놓았다.
고 씨는 김 위원장의 생모 고용희 씨의 여동생이다. 이들 부부는 1998년 미국으로 망명했고, 그동안 자신들의 생활을 공개하지 않아 왔다.
이들은 북한에서 생활할 때 '로열 패밀리'로서의 특권을 누린 것으로 알려졌다. WP는 이와 관련해 "그들의 큰아들이 (북한) 원산의 (최고지도자용) 여름 별장에서 제트스키를 타는 사진과,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의 모습이 담긴 사진 앨범"을 그들의 현재 거주지에서 볼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1992년 김 위원장의 형인 김정철과 함께 스위스 베른에서 살기 시작했던 고용숙·리강 부부는 김 위원장이 12세 때인 1996년부터 약 2년간 김 위원장의 생활을 보살폈다.
고 씨는 이와 관련해 "우리는 보통 가정처럼 행동했고, 나는 그들(김 위원장 형제)의 어머니처럼 행동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어린 시절에 대해 고 씨는 "말썽꾼은 아니었지만, 성질이 급했고 인내심이 없었다"고 회고하며, 김 위원장의 어머니가 그만 놀고 공부를 더 하라고 꾸짖자 김 위원장이 단식투쟁으로 맞섰던 일을 소개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이 "농구를 하기 시작하자 점점 빠져들었다"고 전한 고 씨는 김 위원장이 "농구공을 갖고 잠들기도 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어머니 역시 또래보다 키가 작았던 김 위원장이 농구를 하면 키가 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고 씨는 전했다.
이들 부부는 김 위원장의 8세 생일잔치 때 계급장이 달린 장군 제복을 선물로 받았고 군 장성들이 그때부터 어린 김 위원장에게 경례하는 등 진짜로 경의를 표했다며, 그 당시부터 이미 권력승계 조짐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고 씨는 "주변 사람들이 그(김 위원장)를 그렇게(권력자처럼) 대하는 상태에서 그가 보통 사람으로 성장하기는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강력한 지도자와 가까운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말썽에 휘말리는 일을 종종 볼 수 있으며, 우리는 그런 말썽으로부터 멀어지는 게 좋다고 생각했다"며 북한 정권 내부에서의 암투 가능성 때문에 탈북을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WP는 이들 부부가 1998년 스위스 베른의 미국 대사관으로 진입해 망명을 신청했고, 며칠 뒤 프랑크푸르트의 미군 기지로 옮겨졌으며, 그곳에서 몇 달간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자신들과 북한 지도자와의 관계를 털어놓았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이들 부부가 처음 미국에 도착한 뒤 워싱턴DC 인근에 거주지를 정했지만 한인들의 지나친 관심과 "계속되는 질문" 때문에 아시아계 주민들이 거의 없는 곳으로 이사했다고 밝혔다. WP는 이들 부부가 처음 정착할 때 미 중앙정보국(CIA)으로부터 20만 달러를 받았다고 밝혔지만, 이들 부부의 현재 거주지와 미국에서 사용하는 이름은 "자녀들을 보호하기 위해" 공개하지 않았다.
고 씨와 리 씨의 두 아들은 현재 32세와 29세고 딸은 23세라고 이 신문은 밝혔다.
여전히 영어 구사가 초보 수준인 고 씨는 "친척이나 아는 사람도 없었고 하루에 12시간 이상씩 일해야 했다"며 "처음에는 생활이 매우 어려웠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 시민권자인 고 씨와 리 씨가 그동안 은둔 생활이라고 불릴 정도로 언론 접촉을 기피했다가 이번에 WP와 인터뷰를 하게 된데 대해 리 씨는 "궁극적 목표는 북한으로 돌아가는 일"이라며 언젠가 북한을 방문하고 싶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북한의 '친척'과 관련해 한국에서 돌고 있는 "거짓말"을 해명하기 위해서라고 덧붙였다.
고 씨는 최근 한국 법원에 한국에서 활동하는 탈북자 3명을 상대로 명예훼손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지만, 피고의 주소를 원고측이 파악해야 하는 절차 때문에 이 소송은 법원에서 지난 3월 각하됐다.
리 씨는 또 "나는 미국을 이해하고 북한을 이해한다. 따라서 나는 그 둘 사이의 협상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만약 김정은(위원장)이 내가 기억하는 대로라면 그와 만나서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WP는 이런 리 씨의 주장과 관련해 북한문제 전문가인 알렉산드르 만수로프 미국 존스홉킨스대 겸임교수의 말을 인용해 "미국에서 잘 살고 있는 그들이 '위쪽 계층으로' 올라가고 싶어하지 않는다면 왜 (북한으로) 되돌아갈 생각을 하겠냐"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