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후 야권에 또다시 정계개편 회오리 부나

성적표에 따라 대권 잠룡들 운명도 극명하게 갈려

4.13총선 결과에 따라 여권이든 야권이든 한쪽은 정계개편의 격랑에 휩싸일 가능성이 크다. 또 총선 성적표는 대권을 노리는 '잠룡'들의 앞날에도 큰 영향을 줄 전망이다.

◇ 새누리, 150+α.유승민 복당 등 관건

여론조사 기관을 포함해 정치권 안팎에선 새누리당이 과반을 차지할 것이라는 데 큰 이견이 없다. 일각에서는 170석 이상까지 전망하기도 한다.

새누리당이 '150+α'를 기록할 경우 '막장 공천 파동' 등 악재에도 선방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이럴 경우 박근혜 대통령이 레임덕을 맞거나 차기 대권주자인 김무성 대표가 상처를 받을 공산은 낮다.

김 대표는 이미 총선 이후 대표직에서 사퇴하겠다며 본격적인 대권 행보에 나설 뜻을 시사했다.

다만 무소속으로 당선이 유력한 유승민 의원의 거취에 따라 갈등이 재현될 소지는 남아있다. 유 의원은 청와대와 수차례 대립각을 세우면서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유 의원의 파괴력은 류성걸, 주호영 의원 등 다른 무소속 의원들이 얼마나 당선되느냐에 비례할 것으로 보인다.

유 의원은 지난 11일 "과거 복당 신청이 거부된 적이 거의 없었고 이번에도 거부되지 않을 것"이라며 당선 후 복당을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당장 유 의원 등 탈당파의 복귀를 놓고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간에 파열음을 낼 수 밖에 없어 보인다.


현재로서 확률은 낮지만 새누리당이 과반 확보에 실패하면 박근혜 대통령이 레임덕에 빠지고 김 대표도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하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지역구에서의 당선이 대권을 향한 1차 관문이다.

◇ 더민주, 100석 아래면 김종인 사퇴 등 혼란일 듯

여권보다 상대적으로 지각변동의 가능성이 크게 내재된 곳이 야권이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대위 대표가 목표치로 내세운 107석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 많기 때문이다.

더민주는 100석 안팎의 성적을 거둔다면 참패를 면했다고 볼수 있다. 야권분열로 상당수의 접전지역을 여당에 넘겨줄 수 밖에 없는 현실을 감안하면 큰 내홍은 비켜갈 수도 있다.

하지만 김 대표가 목표 달성을 하지 못하면 비례대표 뿐아니라 당 대표에서도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밝혀왔다는 점이 변수다.

만약 김 대표가 바로 대표직을 사퇴하면 바로 또다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거나 전당대회를 열고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

성적이 더 나쁜 80~90석에 머문다면 당은 큰 혼란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지도부 사퇴는 물론 최악의 경우 선거 패배 책임론을 놓고 계파 간 이전투구(泥田鬪狗)가 벌어질 수도 있다.

총선 직전 호남을 두번이나 방문한 문재인 전 대표는 호남 성적에 정치 운명이 걸렸다. 28석인 호남에서 국민의당이 크게 이기면 문 전 대표는 대권가도에 '빨간불'이 켜질 수 밖에 없다.

반대로 호남에서 절반 이상 건질 경우 문 전 대표도 다시 한번 기회를 잡게 된다.

여당 텃밭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김부겸 전 의원은 당선이 바로 '대권 직행 카드'가 될수 있다. 당권에도 가장 가까워진다.

총선 성적에 따라 원외에 있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에게 시선이 쏠릴 수 있다. 두 잠룡은 측근들의 당선 여부도 관심사다.

◇ 국민의당 20석 넘기면 존재감 과시…분열 책임론은 '부담'

국민의당은 20석을 넘기느냐가 관건이다. 이를 통해 20대 국회에서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해 '캐스팅 보트'를 쥐겠다는 것이다.

국민의당은 '20+α'를 차지하면 존재감을 과시하며 제3정당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가 총선 이후에도 유지되면서 더민주와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관측된다.

안철수 대표도 대권주자로서 어느 정도 입지를 다지게 된다.

하지만 안 대표는 야권 분열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질 공산이 크다. 특히 수도권 접전지역에서 이렇다할 당선자를 내지 못하고 여당에게 어부지리(漁夫之利)를 안긴 것으로 드러날 경우 논란은 더 커질 수 있다.

이 때문에 국민의당의 성적표가 안 대표의 대권 행보를 직접 보장하지는 못할 개연성이 커 보인다.

반대로 20석을 채우지 못하면 제3당의 실험에 강한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원내교섭단체 구성 실패로 국회내 영향력이 크게 떨어지고 안 대표도 자신의 공언처럼 책임을 져야할 상황에 내몰리게 된다.

실시간 랭킹 뉴스